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팝인터뷰①]'배반의 장미' 손담비 "코미디 한 번쯤 도전해보고 싶었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배우 손담비/사진=민은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border=0 />

[헤럴드POP=이미지 기자] “처음엔 부담..막상 해보니 재밌더라”

‘미쳤어’, ‘토요일밤에’ 등을 히트 치며 여성 솔로가수로서 독보적 존재감을 드러낸 바 있는 가수 손담비가 드라마 ‘빛과 그림자’, ‘가족끼리 왜 이래’, ‘미세스 캅2’ 등에 출연하며 배우의 길을 걷게 됐다. 그런 그가 영화 ‘탐정: 리턴즈’로 스크린에 도전장을 내밀더니, ‘배반의 장미’를 통해서는 첫 스크린 주연을 맡게 됐다.

최근 서울 종로구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헤럴드POP과의 인터뷰에서 손담비는 코미디 장르는 처음이라 걱정도 됐지만, 김인권, 정상훈이 잘 이끌어줘 즐겁게 촬영할 수 있었다면서 자신의 연기력이 어떤 평가를 받을지 떨리면서도 기대된다고 털어놨다.

손담비 하면 차갑고 도도한 이미지부터 떠올라 사실 코미디 장르와 매치가 잘되지 않는다. 하지만 손담비는 ‘배반의 장미’의 시나리오를 보자마자 반했고,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선택했다.

“시나리오를 너무 재밌게 봤다. 한 번에 읽히지 않으면 내꺼라고 생각 안 한다. 그런데 ‘배반의 장미’는 한 번에 읽혔다. 연극으로 해도 될 만큼 좋은 대사가 많이 쓰였더라. 읽자마자 하고 싶다고 했다. 다들 내가 안 할 거라 생각했는데 한다고 해서 놀라셨다. 그만큼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코미디 장르가 어려울 것 같긴 했는데 한 번쯤 도전해보고 싶었다.”

헤럴드경제

영화 '배반의 장미' 스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손담비는 극중 당차면서도 미스터리한 여인 ‘미지’ 역을 맡았다. ‘미지’는 섹시한 외모 뒤 남다른 사연이 있는 인물이다. 그런 만큼 손담비는 치명적인 매력을 드러내되, 연기적으로 캐릭터의 특성을 녹여내도록 신경을 많이 썼단다.

“치명적이게 보이기 위해 계속해서 자세를 꼿꼿하게 있었던 것 같다. 앉을 때도 가만히 있는 게 아니라 꺾었다. 외형적으로 엄청 불편하고, 허리도 아프지만 그래야 자세가 잘 나온다. 광고 찍을 때도 불편해야 포즈가 잘 나오더라. 원래 팔자로 막 기대앉는 편인데 이번 캐릭터를 위해 어깨도 사정없이 피고, 다리도 막 꼬고 연습 열심히 했다. 힘들었던 기억이다. 하하.”

이어 “실제 나와 캐릭터의 싱크로율은 50% 정도인 것 같다. 털털하거나 적극적인 모습들은 나와 유사했다. 다만 영화 속 중요한 키를 가진 여자다 보니 초반에는 잘 숨길 수 있는 연기력이 요구됐다. 끝에는 진솔한 대화들이 많으니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초반과 후반이 다르다 보니 감독님, 배우들과 함께 캐릭터들을 잡아갔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가운데 ‘배반의 장미’는 한 공간에서 대부분의 극이 진행된다. 더욱이 코미디 장르인데 자칫 하면 상황이 반복되는 지겨움을 안겨다줄 수 있다. 이에 손담비도 재미를 최대한 살리려고 신경 썼다고 밝혔다.

“한 공간에서 그 많은 대사들을 주고받는 게 자칫 하면 지루할 수 있으니 지루하지 않도록 부단히 노력했다. 밋밋한 대사들을 한 공간 안에서만 지켜보는 게 힘든 일이지 않나. 재미를 살리기 위해 다 같이 연구했다. 조미료를 가미하듯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고, 그 덕에 재밌는 장면들이 탄생할 수 있었다.”

헤럴드경제

배우 손담비/사진=민은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border=0 />

뿐만 아니라 손담비는 ‘배반의 장미’를 통해 처음으로 코믹 연기에 도전했다. 더욱이 ‘코믹 연기의 대가’로 손꼽히는 김인권, 정상훈과 연기 호흡을 맞춰야 했다. 처음에는 부담스러웠지만, 막상 촬영에 돌입하면서는 재밌었단다. “처음에만 부담이 있었고, 연기하면서는 전혀 없었다. 내가 웃기는 장면들은 몇 신밖에 없다. 몇 신도 막상 해보니깐 재밌더라. 시간이 어떻게 흘러갔는지 모를 정도로 즐겁게 촬영했다. 코믹 연기의 대가 김인권, 정상훈이 많이 도와주고, 이끌어준 덕분이다.”

무엇보다 손담비는 ‘배반의 장미’가 무거운 주제와 달리 소소한 웃음이 있는 작품이라면서, ‘배반의 장미’를 통해 코미디 영화가 살아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요즘 모두의 삶이 팍팍하지 않나. 우리 영화는 주제는 무겁지만 유쾌하게 웃을 수 있다. 연령층 상관없이 소소하게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충무로에 코미디 영화가 사라진지 오래됐는데 ‘배반의 장미’가 본보기가 돼 예전처럼 살아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나 역시 코미디 장르가 처음이라 어떻게 평가해주실지 긴장도 되고, 기대도 된다. (웃음)”

pop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POP & heraldpop.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