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작업은 정치적 이해관계 산물”-하나금융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나금융투자는 16일 미국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이 임박한 가운데 이벤트 결과가 아닌 이면의 정치적 함의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용구 연구원은 “미국의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 작업은 엄정한 원칙론에 입각한 실제 구속력을 갖춘 제재안이 아닌, 트럼프 행정부의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나온 산물”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정량적 측면에서만 봤을 때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적 가능성은 희박하다”면서도 “문제는 판단 기준 자체가 상당히 자의적이며 유동적이라는 점으로 기존 관찰 대상국 모두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짚었다.

투자전략 측면에선 네 가지 경우의 수를 상정했다.

김 연구원은 “우선 10월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유예와 11월 중간선거 전후 타협안 모색은 긍정요인으로 신흥국의 총체적 반격이 재개될 전망”이라며 “다른 수는 10월 미지정에도 G2간 파열음이 지속되는 경우로 최근 증시 교착상태가 근본적으로 달라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에는 향후 인민은행의 인위적 환율 절하 억제 확약과 전향적인 무역협상을, G2 무역분쟁이 미국의 승리로 귀결될 수 있을 것으로 선진국의 일방적 우위 속에 낙수효과에 따라 신흥국 차별화 행보가 좌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악의 시나리오로는 “환율조작국 지정이 미·중 양국간 강대강 전면전으로 비화되는 경우”라며 “G2간 갈등 전선은 무역을 넘어 외교적, 군사적, 금융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 G20국들은 초강세 미 달러화의 약세 선회를 위한 공조개입에 동원될 공산이 크고 글로벌 경기후퇴, 신흥국 전염 리스크 등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투데이/차민영 기자(blooming@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