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佛 에펠탑 보이는 파리 시내서 수소 충전..한국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최석환 기자] [편집자주] 머니투데이는 올 1월부터 국내는 물론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노르웨이 등 전세계를 돌며 각국의 수소전기차 및 수소경제 인프라를 취재했습니다.

이를 통해 이달초 '수소전기차로 여는 수소경제사회' 가이드북을 발간하고, 여야 국회의원 34명과 뜻을 모아 '국회 수소경제포럼' 출범에 미디어파트너로서 참여했습니다.

머니투데이는 이제 수소전기차를 촉매로 시작된 전세계 수소사회의 앞날을 조망하는 '수소사회로 가는 길' 기획을 시작합니다.

[수소사회로 가는 길]文대통령 도심 수소충전소 직접 찾아 눈길...유럽과 달리 충전 인프라 규제 많은 국내 상황 재부각

머니투데이

프랑스 파리에서 수소차 충전에 대해 설명 듣는 문재인 대통령./사진=청와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전은 직접 하나요?"

유럽을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시내에 있는 수소충전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수소전기차 택시에 직접 수소를 넣고 있는 운전자에게 던진 질문이다.

"운전자가 셀프로 한다"는 얘기를 들은 문 대통령은 "우리 휘발유 차량 운전방식과 같네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전소를 함께 찾은 프랑스 산업용 가스공급업체 '에어리퀴드'의 브노아 포띠에 회장에게 "충전소가 시내 한복판에 있다는 것에 대해 시민들이 불안해 하진 않나요"라고 물어봤다.

이에 대해 포띠에 회장은 “수소충전소가 설립된지 3년이 지났지만 시민들로부터 어떠한 불만도 제기된 바 없었으며 사고도 전혀 없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수소 충전 시연을 보기 위해 들른 곳은 현대자동차와 수소전기차 합작에 나선 '에어리퀴드'가 파리 시내 알마 광장에 설치한 첫 번째 수소충전소다. 도심 한복판인데다 파리의 상징인 에펠탑이 보이는데 위치해 있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으로 유럽과 달리 수소충전소 규제가 많아 관련 인프라 확대에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국내 상황이 재부각됐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운전자가 직접 수소 충전을 할 수가 없다. 현행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르면 가스기능사 자격증을 보유한 인원만 수소충전소 안전관리책임자가 될 수 있고 수소 충전이 가능하다. 사업자가 수소충전소를 운영하기 위해선 이 자격증을 갖고 있는 인원을 고용해 상주토록 해야 한다.

CNG(압축천연가스)·LPG(액화석유가스) 충전소 안전관리책임자의 경우 안전관리자 양성교육이나 충전시설 안전관리자 양성교육을 이수하면 설립 자격을 얻을 수 있는 것과도 대조적이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까다로운 수소충전소 설치 기준도 문제다. 현행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유치원·대학 등 학교 부지로부터 200m 이내의 부지엔 수소충전소 설치가 어렵다. 또 전용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등엔 수소충전소 설치가 아예 불가능하다. 철도안전법에 따르면 철도보호지구 경계로부터 30m 이내에도 수소충전소 설치를 제한하고 있다.

이와 달리 유럽이나 미국은 일정 시간의 안전교육을 이수한 운전자라면 누구나 수소전기차 충전을 할 수 있다. 또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선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중앙관제 시스템을 통해 안전사항을 관리·감독할 수도 있다.

해외엔 수소충전소 설치 관련 규제도 거의 없다. 이에 따라 유럽 등엔 도심 내 수소충전소가 계속 들어서고 있으며, 일본의 이와타니 수소스테이션 시바코엔역 지점엔 반경 3km 내에 국회의사당과 정부청사 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 양산에 성공했지만 수소 충전 인프라에 대한 각종 규제 때문에 충전소 설치 첫 단계인 부지 확보조차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최근 정부도 개발제한구역 내 천연가스 충전소에 수소전기차 충전소도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시행령을 바꾸고, 이동형 수소충전소 기준을 마련하는 등 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다.

아울러 수소충전소와 보호시설 등에 5~17m에 달하는 이격이 필요하다는 규제도 앞서 통과된 특례로 12cm 두께의 방호벽 설치 시 거리제한을 두지 않도록 개선되기도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수많은 시험 검증을 통해 마련돼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잦은 지진 등으로 안전 문제에 극도로 민감한 일본이 수소사회 구현을 국가적 비전으로 설정하고, 민·관 공동으로 가정용·수송용 연료전지 보급 확산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차는 문 대통령의 프랑스 방문기간 중 '에어리퀴드'를 비롯해 다국적 에너지기업 '엔지'와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공동 MOU(양해각서)를 체결한다.

MOU에 따라 현대차는 오는 2025년까지 프랑스에 승용차뿐만 아니라 버스·트럭 등 상용차에 이르기까지 총 5000대의 수소전기차를 공급하고, '에어리퀴드'와 '엔지'는 프랑스에 수소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최석환 기자 neokis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