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대사증후군 남성, 대장암 발병 위험 40% 높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사증후군을 앓고 있다면 대장암 발병률이 남성은 1.4배, 여성은 1.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최윤진 교수는 2009~2012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280만 9722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질환 유무에 따라 그룹으로 나눠 대장암 발병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 629만 6,903명(27.6%)중 대장암 진단을 받은 환자는 6만 3,045명(1%)이었고 대사증후군을 앓고 있지 않는 1651만 2,819명중 대장암 환자는 8만 5,422명으로 0.52%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성별, 연령, 규칙적인 운동 및 음주와 흡연정도 등을 함께 비교한 결과에서도 대사증후군의 요인을 갖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험도가 남성은 40%, 여성은 20%이상 증가했다.

대사증후군은 5가지 요인(복부비만, 내당능장애,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혈증)중 3가지 이상을 가질 때 진단되며, 서구화된 식생활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대사증후군의 5가지 요인 중 2가지만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대장암발병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됐다. 그 중 복부비만, 당뇨병의 전 단계로 알려진 내당능장애,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 등 세 가지 요소가 대장암 발병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이들 3개 중 2개를 가진 사람은 30%이상, 3개를 모두 가진 사람은 45%이상 대장암 위험도가 높아졌다.

최윤진 교수는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받지 않더라도, 복부비만, 내당능장애,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혈증 중 두 개 이상 가진 경우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으므로 더 주의 깊은 관리 및 검진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분당서울대 이동호 교수(교신저자) 및 한경도 교수가 참여했으며, '유럽역학저널(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9월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