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창원시, 고용·산업위기지역 맞춤형 일자리사업 130억 긴급지원 요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창원시는 고용·산업위기지역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위한 130억원 규모의 예산을 기획재정부에 긴급지원 요청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 9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고용·산업위기지역 지방자치단체장 간담회에서 허성무 시장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비지원을 적극 요청한 데 따른 후속조치이다.

뉴스핌

허성무 창원시장(맨 왼쪽)이 지난 9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김부겸 행안부장관을 비롯한 관계부처 공무원과 지자체장이 참석한 고용·산업위기지역 간담회에서 정부지원을 요청하고 있다.[사진=창원시청]2018.10.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가 기재부에 긴급지원을 요청한 고용·산업위기지역 맞춤형 일자리사업은 모두 126억2700만원의 예산으로 연말까지 창원시 산하 공공기관 166개 부서, 399개 사업을 망라한 5530개의 맞춤형 공공일자리를 제공하는 내용이다.

이 가운데 일자리 창출 규모가 가장 큰 ‘희망근로 지원사업’은 6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고용위기지역 실직자 및 실직자 가족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올해 연말까지 2749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5억 7000만원의 예산으로 저소득 노인계층 자립을 위한 ‘노노케어’, ‘주차보안관’, ‘공공시설봉사’ 등 공익활동분야 1000개의 노인일자리를 제공하는 내용도 포함했다.

이 밖에도 올해 연말까지 창원시가 기재부에 요청한 고용·산업위기지역 맞춤형 일자리는 ▲대학 휴학생 직장체험활동 지원사업 300개 ▲농촌 일손돕기 지원사업 260개 ▲창원시 중장년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전문인력 배치 148명 등 399개 사업 5530개이다.

시는 고용·산업위기지역 맞춤형 일자리사업에 더해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지원사업과 고용·산업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현안사업에 136억원의 국비지원도 요청했다.

창원시가 기재부에 요청한 지역현안사업은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지원사업(6억원) ▲창원마산야구장 건립사업(50억원)의 단기사업 ▲3D프린팅 설계혁신 실증라인 구축사업(20억원) ▲항공기 Pylon설계 및 제품개발 지원사업(20억원)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건립사업(10억원) ▲중소형 특수선박지원센터 구축사업(30억원)의 계속사업을 합해 모두 136억원 규모이다.

이에 따라 지난 11일에 기재부 연구개발예산과장이 고용·산업위기지역 일자리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사업 컨설팅을 위해 창원시를 방문해 제1부시장 주재로 간담회를 가지고 적극적인 국비지원을 약속했다.

허성무 시장은 “창원시의 고용 · 산업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일자리사업과 지역전략사업에 대한 국비지원이 고용취약계층의 생활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