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노사정, 사회적 대화 ‘경사노위’ 공식 출범에 공감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勞, 최저임금 등 대화 요청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개월만에 손잡은 노사정

노사정대표자회의가 12일 서울 새문안로 S타워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열렸다. 최상위 사회적 대화 기구인 노사정대표자회의가 열린 것은 6개월 만이다.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장,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총 회장,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왼쪽부터)이 손을 잡고 있다. 연합뉴스 6개월 만에 한자리에 모인 노사정 대표자들은 일자리 문제, 사회 양극화 해소 등 시급한 사회 현안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사회적 대화인 '경제사회발전위원회'가 하루빨리 활성화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12일 서울 새문안로 에스타워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노사정 대표자 4차 회의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장과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등 6명이 참석했다. 사회적 대화의 최상위 기구인 노사정 대표자회의가 열린 것은 지난 4월 3차 회의 이후 6개월 만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곧 출범할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사노위 산하에 국민연금 제도 개편 특별위원회를 설치하는 방안을 안건으로 논의했다. 이를 위해 박능후 복지부 장관이 특별위원으로 참석했다. 국민연금 제도 개편 특위(가칭)가 신설되면 국민연금 제도 개편과 관련한 사회적 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아울러 계층별위원회와 금융, 공공, 보건, 해운 등 4개 업종별 위원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의제에 포함됐다.

문성현 위원장은 "현재 경제상황은 한 부분의 잘못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비상체제라고 할 수 있는 만큼 노사정 스스로 만든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공식 출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공식 출범하면 의미 있는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경제단체도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는 만큼 대립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넓은 방향으로 바라보길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노동계도 사회적 대화를 통한 결실을 봐야 할 때라며 뜻을 같이했다. 하지만 경제계와 정부의 더욱 책임있는 태도를 요구했다.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은 최저임금, 노동시간 단축 등과 관련해 기획재정부와의 사회적 대화를 요청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위한 특별조직, 제조업 인원감축과 관련해 구조조정 대책 특위를 만들 것을 요청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