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中 ABCP 사태 현지실사 등 책임 방기…윤석헌 “ABCP 사태 재점검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관사 한화·이베스트證…현지 실사 미이행”

“ NICE신평, ‘지방공기업’ 표기로 오해 발생 원인 제공”

[이데일리 윤필호 기자] 중국국저에너지화공집단(CERCG)이 보증한 해외발행 사모사채인 금정제십이차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사태와 관련해 제대로 실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해당 ABCP 신용을 평가한 NICE신용평가는 보고서에 ‘지방공기업’으로 표기해 오해 발생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ABCP 사태를 다시 들여다 보겠다고 밝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은 12일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부실상품 판매 주관사들은 결론적으로 현지 확인이나 기업 실사도 안 했다. 관련 보고서를 작성한 나이스신용평가와 한화투자증권, KTB자산운용은 직무를 유기한 것”이라며 책임소재를 따졌다.

지난 5월 한화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CERCG가 지급 보증한 CERCG캐피탈의 1억5000만달러 규모 달러표시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ABCP 1645억원을 발행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투자증권(500억원)과 BNK투자증권(200억원), KB증권(200억원), 유안타증권(150억원), 신영증권(100억원) 등 5개 증권사가 매입했다. 그러나 발행 3일만에 CERCG가 기존에 발행했던 3억5000만달러 역외자회사 채권의 교차부도가 발생했고, 이후 CERCG가 보증한 ABCP도 부도처리돼 발행가의 80%를 손실로 처리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 이날 정무위에는 중국 ABCP 사태와 관련해 권희백 한화투자증권 대표와 김태우 KTB자산운용 대표, 김영대 나이스신용평가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번 사태의 법적 책임이 있는 주관사는 한화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으로 나타났다.

주관사들은 현지 실사를 하지 않는 등 통상적인 책임을 방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대 대표는 지상욱 의원이 기업 실사가 이뤄지지 않는데 대한 책임 소재를 묻자 “현지 실사는 통상적으로 주관사에서 책임지고 한다”면서 “이번 ABCP 발행과 관련해 실사를 하지 않는 책임은 한화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에 있다”고 답했다. 윤석헌 금감원장 역시 이에 대해 “한화투자증권, 이베스트증권 책임”이라고 말했다.

나이스신용평가가 작성한 신용평가 보고서에 CERCG가 지방 공기업으로 표기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김태우 대표는 “NICE 신용평가 보고서를 보면, 중국 국영기업으로 명시돼 있어 공기업으로 알았다”고 말했고 권희백 대표도 “지방 공기업으로 명기돼 있어 그렇게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정무위 국감장에 출석한 현대차증권 최현철 채권영업본부장은 “주관사는 한화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이다”며 “중국 공기업으로 명시된 부분은 당연히 헷갈릴 수밖에 없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김영대 대표는 “비공식 보고서였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지 의원은 KTB자산운용에 대해 “부도날 것을 알면서도 왜 유통을 했고, 공식 부도 선언 이후에야 판매를 중지했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김태우 대표는 “모든 절차를 거쳐 5영업일 이후 5월28일 정확한 부도선언 이후 판매중지했다”고 해명했다.

금감원은 이번 사태에 대한 재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CERCG를 공기업으로 분류한 것은 한국적 기준으로 큰 문제 없다고 보고 있다. 관리위원회 지급 보증이 수반되지 않는 문제가 우리와 조금 다르다고 인지하고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펀드 판매에서 소비자에게 끼친 피해는 크다고 판단하고 집중적으로 점검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