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한국·바른미래 "취업자 수 증가?…민간부문 늘려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월 고용동향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4만5천명↑"

뉴스1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12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브리핑실에서 9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2018.10.12/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과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전환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통계청은 이날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4만5000명 증가했다는 내용의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취업자 수 증가에 일단 "불행 중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8개월째 취업자수 증가치가 10만명대 이하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민간부문 일자리 늘리기에 모든 역량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수석대변인은 도소매 숙박음식업과 제조업 취업자 수가 줄어든 데 대해 "급격한 최저임금인상 등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악영향이 크다. 세금퍼붓기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과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취업자 수가 늘어난 데 대해서는 "세금퍼붓기로 일자리를 늘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당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에서 경제와 일자리가 살아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정부가 반기업, 친노조, 세금퍼붓기 정책에서 벗어나 경기회복을 위한 규제혁신과 노동시장 개혁, 4차산업 활성화 등 대한민국 성장엔진을 살려낼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고용동향)는 결국 늘어난 세금 일자리가 줄어든 민간 일자리보다 많았음에 불과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특히 우리 경제의 허리라고 할 수 있는 30~40대의 취업자가 22만7000명이 감소한 것은 경제상황이 심각하게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도 언급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의 최악의 일자리 실패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면서 "일자리 예산 54조원을 도대체 어디에 썼길래 고용동향이 계속 악화되기만 하는지 아직도 진상이 밝혀지지 않았다. 취업자 수가 4만5000명 늘어났다고 안도하는 것이 소득주도성장의 성과라면 즉각 철회 외에는 답이 없다"고 덧붙였다.
pej86@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