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제주 관함식, 미국 항모 레이건호 등 11개국 39척 사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정마을 주민 등 3000여명 함께해... 독도함엔 가장 오래된 태극기 게양

한국일보

국제관함식이 열린 11일 제주 서귀포 인근 해상에서 율곡이이함(왼쪽부터), 대조영함, 광개토대왕함, 대구함, 소양함, 천왕봉함 등이 문재인 대통령이 탑승한 일출봉함(LST-Ⅱㆍ4,900톤)을 향해 기동 사열하고 있다. 이날 해상 사열에는 해군 최신예 함정 24척과 미국 항공모함인 로널드레이건호 등 해외 10개국 함정 15척 등 군함 39척이 참여했다. 서귀포=류효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일 오후 제주 서귀포 앞바다에서 펼쳐진 ‘2018 제주 국제관함식’의 해상 사열은 우리 해군과 우방국 해군 전력의 요약판이었다. 미국 항공모함 같은 국가급 전략자산을 포함한 해외 10개국 함정 15척과 우리 해군 최신예 함정 24척 등 군함 39척이 문재인 대통령이 탑승한 일출봉함을 향해 기동 사열하며 각국 함정이 한 바다에서 어우러지는 장관을 연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김정숙 여사와 헬기를 타고 이번 해상 사열의 좌승함(座乘艦)인 일출봉함(LST-Ⅱㆍ4,900톤)에 착륙했다. 함상 연설을 한 문 대통령은 곧바로 함수 갑판에서 관함식 참가 함정들의 사열을 받았다. 국민사열단이 탑승한 독도함(LPHㆍ1만 4,500톤)과 제주 강정마을 주민들이 탑승한 천자봉함(LST-Ⅱㆍ4,900톤)도 좌승함을 뒤따랐다. 결과적으로 문 대통령과 강정마을 주민들을 포함한 3,000여명의 국민이 함께 사열을 받은 셈이다.
한국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앞바다에서 열린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 참석해 '좌승함(座乘艦)'인 상륙함 '일출봉함' 함상에서 심승섭 해군참모총장과 함께 해상 사열을 지켜보며 거수경례하고 있다. 서귀포=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열 시작과 함께 좌승함인 일출봉함에는 ‘조선수군 대장기’가, 독도함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 ‘데니 태극기’가 각각 게양됐다.

가장 먼저 우리 해군 최신예 이지스함인 율곡이이함이 좌승함 앞에서 기동했다. 율곡이이함 갑판에 도열한 해군 장병들이 거수 경례를 올리자, 문 대통령도 거수 경례로 답했다. 이어 대조영함(DDH-Ⅱㆍ4,400톤), 광개토대왕함(DDH-Ⅰㆍ3,200톤), 대구함(FFGㆍ2,500톤)이 차례로 기동한 데 이어 관함식에 참가한 외국 함정들이 국가 이름 알파벳 순으로 기동했다. 당초 참가할 예정이었던 일본 해상 자위대 함정은 욱일기 게양 논란 끝에 불참했다.

이번 관함식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미국 항공모함 로널드레이건호(CVN-76ㆍ10만 4,000톤)는 가장 마지막에 기동했고, 인도네시아 범선인 비마 수치(2,000톤)은 함정 특성 상 항 인근에서 별도로 사열했다.

사열 뒤 문 대통령은 일출봉함 함교를 돌아봤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김진홍 일출봉함 함장(중령)의 권유를 받고 함정 안의 모든 승조원이 청취하게 되는 ‘함내 방송’을 실시했다. 그는 “우리 해군 장병들의 늠름하고 패기 넘치는 모습을 보니 자랑스럽다.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이라며 관함식 준비에 대한 노고를 치하했다.

조영빈 기자 peoplepeople@hankookilbo.com

정상원 기자 ornot@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