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국감]'연료전지 실패' 인정한 포스코 에너지,"필요하면 감사원 감사 받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하늬 기자] [the300]김규환 의원 "적자 누적 포스코 에너지 … 국책사업에 책임 전가"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의 에너지발전 자회사 포스코에너지가 누적적자를 빌미로 국책사업 수행 기관인 경기그린에너지에 연료전지 계약금을 갑자기 올리는 등 연구개발 실패의 책임을 전가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는 포스코에너지의 감사원 감사를 주장했고, 박기홍 포스코 에너지 사장은 "필요하다면 받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은 1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박 사장에게 "포스코와 포스코에너지 내부적인 문제로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 국가의 차세대 기술이 처분 대상이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경기그린에너지는 독점사업자인 포스코의 연료전지 제품만 믿고 정부투자금인 470억을 포함해 총 3274억 원의 막대한 민간자본을 들여 연료전지 개발에 나섰다"며 "그런데 포스코에너지가 기존의 계약서를 뒤집으면서 연료 서비스 계약금을 갑자기 올려달라고 해 계약이 늦어지고, 회사는 위기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경기그린에너지의 주무관청인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받은 ‘연료전지 최적운전패턴 적용 따른 LTSA((Long Term Service Agreement) 가격 제안’ 거래서에 따르면 포스코는 최초 연료전지를 납품할 당시 제시한 보증출력량을 전혀 만족시키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후속 조치 없이 방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기존의 합의를 엎고 LTSA 계약비용(기존 연간 7.7억 원)을 무려 2.3억 원이나 인상시키며 경기그린에너지 사업의 존속 자체를 위협에 빠뜨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그린에너지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2012년부터 자기자본 470억원(사업비 3274억원)을 들여 경기도 화성시의 발안산업단지 내 유휴부지에 총 설비용량 58.5밀리와트(mW)에 이르는 대규모 연료전지 사업장이다.

이와 관련 정재훈 한수원장은 "5년 전 (포스코에너지와) 계약 당시, 앞으로 계속 단가가 내려갈 것을 전제로 장기 20년 계약이 아닌, 5년 단기계약을 했다"며 "금액도 약 7억원이었는데 이번 계약 경신기간동안 5년에 13억을 요구했고, 협상하는 과정에서 10억으로 낮춘 상태다"고 주장했다.

정 원장은 "저희는 (연료전지) 서비스 계약을 기다리다가 경기 그린에너지가 제대로 가동 안되는 형편이다"며 "단순히 경기그린에너지만의 문제가 아니라 포스코에너지 서비스 지원 받는 다른 중소중견기업 마찬가지로 겪는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포스코에너지는 반박했다. 박 사장은 "5000억을 투자해 공장을 만들었지만 지난 10년간 누적적자 3200억만 남았다"며 "반면 경기그린에너지는 지난 5년간 영업이익이 460억원을 냈다. 우리는 적자이다 보니 적자폭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계약 단가를 협상하는 중이다"고 주장했다.

다만 포스코 에너지의 연구개발 실패는 인정했다. 박 사장은 "그 동안 연구개발 노력을 많이 했지만 미국업체 퓨어셀에너지에 로열티 3%, 밸류체인 80% 의존률 등 사실상 실패했다고 인정을 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포스코에너지는 경기그린에너지 뿐만 아니라 LG서브원이 추진한 충북 청주공장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무산시켰고, 한국전력공사가 추진하는 대구청정에너지는 삽도 뜨지 못한 채 기약 없이 연기되는 중”이라며 “계약 상의 법적인 허점을 파고들어 기업의 책임은 요리조리 회피하고 기술의 매각은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이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해서 잘잘못을 명명백백 밝히겠느냐"고 묻자 박 사장은 "법전공이 아니라 감사원 감사 대상이 되는지 모르겠다"면서도 "필요하면 (감사를) 받겠다"고 답했다.

김하늬 기자 hone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