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유통이력 관리 수산물 고작 0.4%…국민 10명중 6명 몰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완주 의원, '2014~2017 수산물이력제 참여 현황' 분석

뉴시스

뉴시스DB


【서울=뉴시스】박성환 기자 = 최근 횟감용 활어의 원산지 둔갑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수산물에 대한 투명한 유통이력 관리를 골자로 하는 '수산물 이력제'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2014~2017 수산물이력제 참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력제에 참여한 품목은 미역·참조기·고등어·갈치 등 25개로 약 8108톤의 물량에 수산물이력번호가 표시됐다.

이는 당해연도 참여 품목의 총 생산량인 201만8626톤과 비교하면 고작 0.4%에 불과하다. 수산식품 1000개중 4개만 이력번호를 표시한 셈이다. 농산물이력제의 2016년 인증재배면적이 전체 면적 대비 5.4%를 차지한 것과 비교해 봐도 매우 낮은 수치다.

또 수산물이력제를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수부가 최근 4년간 매년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수산물 이력제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매년 27.3%~39.7%에 그쳤다. 10명 중 6~7명은 모른다는 뜻이다.

모르는 소비자가 더 많아 참여생산자와 참여업체도 줄어들었다. 2016년 7066명이었던 참여자는 지난해 149명이 줄어 6917명으로 떨어졌다.

박완주 의원은 "해양수산부가 유통경로 투명화를 위해 수산물 이력제 정착에 힘써야한다"며 "소비자 인지도를 제고하고 생산자 단체의 애로사항을 수렴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수부는 지난 2008년 수산물 유통관리법 제27조에 근거해 수산물 이력제를 도입했다. 수산물 안전사고 발생 시 유통경로를 추적해 원인을 규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조치다.

sky0322@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