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컨테이너터미널 운영 해외투자사 배만 불려…2년간 900억 배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준호 의원 "국내업체 경쟁력 향상 유도"

뉴시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세관은 지난 3월 부산의 수출은 13억7000만 달러, 수입은 12억9000만 달러를 각각 기록해 무역수지 8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고 20일 밝혔다. 사진은 부산항 신항의 모습. 2018.04.20. (사진=뉴시스DB)yulnet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박성환 기자 = 최근 2년간 900억원이 넘는 금액이 해외투자자본사에 배당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1일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컨테이너 터미널 해외투자자본사 배당금 내역'에 따르면 2년간 900억이 넘는 금액이 해외투자자본사에 배당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부산신항 1·2·4부두, 인천항 남항 4곳의 총 배당금은 1529억2900만원이었다. 이중 해외투자자본사의 배당금이 931억2800만원으로 전체 배당금의 60.9%를 차지했다.

2016년에 부산신항 2부두의 배당금은 420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66%인 277억3300만원이 'DPW(두바이 포트 월드)'의 배당금으로 나타났다. 같은해 부산신항 4부두의 배당금은 213억7100만 원이었고 이중 32억9700만원이 'PSA(싱가포르항만공사)'에 배당됐다.

2017년 부산신항 1부두와 2부두의 전체 배당금은 각각 95억5800만원, 700억원이 발생했다. PSA와 DPW가 각각 58억7700만 원, 462억2100만 원의 배당금을 받았다.

인천 항만에서 유일하게 배당금이 지급된 인천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PSA의 지분이 100%로 항만 운영 수익이외에 발생한 배당금 100억원 전액이 모두 PSA로 배당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해외투자 자본사 지분율이 높은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PSA는 부산신항 1·4부두에 각각 80%, 40%+1주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천항 남항은 지분률이 10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W는 부산신항 2부두 운영사 지분의 66.03%를 차지했다.

맥쿼리, Terminal Link S.A 등이 지분을 가지고 있는 부산신항 5부두 등 향후 해외투자사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부두에서도 배당금이 발생할 여지가 존재한다.

윤준호 의원은 "해외투자 자본사의 배당금이 900억원이 넘는 등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으로 해외투자 자본사의 배만 불려주는 모양새가 됐다"며 "일반적으로 항만운영기간이 20년 이상이라고 본다면, 향후 해외투자 자본사로 유출되는 배당금은 수천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해수부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운영하는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 향상을 유도해 운영사에 참여하는 비중을 높이고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PSA와 DPW 같은 글로벌 업체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ky0322@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