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의원-녹색소비자연대, 인터넷 기업의 뉴스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
인터넷 기업 뉴스 배열 우려…구글, 네이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지 않아
절반 가까이는 가짜뉴스 접해…인터넷 기업이 콘텐츠 배제하는 노력 필요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우리 국민들은 인터넷 기업의 뉴스 배열 '편향성'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면서도 뉴스 편집이 배제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통한 맞춤형 뉴스'보다 '동일한 뉴스 제공'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의원이 녹색소비자연대와 함께 지난달 21일부터 27일까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해 미디어오늘과 함께 분석한 결과다.
11일 보고서에 따르면 10명 중 2명만이 '맞춤형 뉴스'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뉴스를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것과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를 제공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낫다고 생각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59.6%는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 제공'을 선택했다. '개인선호에 따른 맞춤형 제공'을 선호하는 응답은 17.7%에 불과했으며, '둘 다 상관없다’' 응답은 22.7%였다.
반면 인터넷 기업의 뉴스 배열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인터넷 기업이 직접 뉴스를 필터링하면 뉴스 배열이 편향될 수 있다는 의견이 매우 그렇다(17.9%), 그렇다(50.2%)로 68.1%가 부정적이었다.
또 인터넷 기업이 뉴스를 배열하는 방법과 원칙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6.2%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이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뉴스 매체와 동일한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응답도 79.1%에 달했다.
가짜뉴스(허위정보)를 접한 경험도 상당했다. 인터넷 기업을 통해 가짜뉴스로 의심되는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3.7%로 나타났고, 이어 '잘 모르겠다'(35.8%), '그렇지 않다'(20.5%) 순이었다.
포털 등을 통해 유통된 가짜뉴스의 책임은 언론사(제작자)에게 있다는 응답이 52.3%로 가장 높았고, 인터넷 기업 33.9%, 이용자 9.4%, 정부 4.4% 순으로 뒤를 이었따.
인터넷 기업이 가짜뉴스로 의심되는 언론사의 콘텐츠를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71.1%가 동의했다.'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21.3%였다.
특히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네이버·구글 등 인터넷 기업의 가짜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했다. 가짜뉴스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이 69.4%에 달한 반면, 노력하고 있다는 응답은 18.6%에 불과했다.
김성수 의원은 "네이버·구글 등 인터넷 기업이 서비스를 개선함에 있어 정치적 이슈에 휘둘리기보다 이용자의 선호와 편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면서 "뉴스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 기업이 갖는 사회적 역할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je1321@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