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80년 전 우리나라 최초 구급차는 어떻게 생겼을까…모형 복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1936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구급차로, 동경소방박물관에 전시된 미니어처. 경성소방서에서 운영된 차량도 동일모델인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청 제공]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우리나라 최초의 구급차가 모형으로 복원된다.

소방청은 80년 전인 1938년 10월10일 처음 운행을 시작했던 우리나라 최초의 구급차를 실물보다 작은 모형으로 복원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우리나라 최초의 119 구급차는 당시 경성교통안전협회가 교통사고나 화재로 인한 부상자가 신속한 치료를 받지 못해 생명을 잃는 점을 안타깝게 여겨 경성모터스주식회사에 의뢰해 제작한 것이다. 당시 제작비용은 백미 280가마 값이었던 6천원으로, 현재 쌀값과 비교하면 약 5천600만원 수준이다.

최초의 구급차는 닛산자동차 계열사인 댓선(Datsun)의 14 모델을 개조한 것으로, 중상자 2명이나 경상자 4명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었다. 현재의 응급구조사 격인 전문간호부가 소방서에서 대기하다 신고를 받고 출동했다.

해방과 한국전쟁 후에는 소방서에서 구급차를 운행하지 않았다. 그러다 1972년 전북 전주소방서와 1973년 부산 동래소방서 등 일부 소방서에서 운영하다 1982년 3월 서울소방본부에서 구급차 9대를 갖춘 구급대를 창설하면서 본격적인 119구급 서비스가 시작됐다.

구급차 내에서 응급처치가 가능한 전문구급차는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인 인요한 박사가 1993년 승합차를 개조해 전남 순천소방서에 기증한 것이 최초다.

소방청은 복원된 최초의 119구급차를 앞으로 설립될 소방박물관에 전시할 계획이다.

zitron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