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과기부 국감]“과기부 산하 출연연, 가짜학회 출장비로 10억 이상 지원받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과기정통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밀집된 대덕연구개발특구.[헤럴드경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구원 1인 평균 421만원 지원받아”

- “정부출연연 가운데 출장비 가장 많이 타낸 곳은 한의학硏”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과학기술원이 이른바 ‘가짜학회’로 알려진 와셋‘(WASET)과 ’오믹스‘(OMICS)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5년간 10억원 이상을 지원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박광온 의원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출연연 및 4대 과기원 대상 기관별 지원 현황’에 따르면 2014~2018년까지 정부출연연구원 26곳 가운데 21곳의 연구원 184명이 7억7497만원을 가짜학회 출장을 위해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 1인 평균 421만원을 지원받은 셈이다.

또 4대 과학기술원의 경우 76명이 2억7125만원, 1인 평균 357만원을 지원받았다.

이 금액은 과기부가 가짜학회 참가 실태조사를 통해 파악 가능한 항공료, 참가비, 출장비 등만을 대상으로 했기에 실제 부당하게 사용된 금액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1개 정부출연연구소 가운데 출장비를 가장 많이 타낸 곳은 한국한의학연구원으로 1억2152만원에 달했다. 26명이 총 31번 가짜학회에 참여했고, 2회 이상 참가자도 5명이나 됐다.

이어 한국건설기술연구원(1억1257만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7764만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7276만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6204만원), 한국기계연구원(4180만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3634만원), 한국식품연구원(3542만원) 순이었다.

4대 과기원의 경우 KAIST가 1억1990만원으로 많았으며, 46명이 총 43번 참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 대구경북과학기술원(6541만원), 광주과학기술원(5637만원), 울산과학기술원(2953만원) 순이였다.

박광온 의원은 “근본적으로 정부가 가짜학회에 발표한 논문을 발표 실적으로 인정해주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라며 “해외 학회들의 부실여부에 대해 정부기관의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