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2018국감]최근 5년간 그린벨트 해제 지역 집값 평균 5%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제지역 경기 13곳 가장 많아...인천 5곳, 서울 1곳 등

경기 하남미사 그린벨트 해제지역 집값 10.7%나 올라

[이데일리 박민 기자] 정부가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을 잡기 위한 대안으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를 모색하는 가운데 해제 지역의 집값은 오히려 전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인천 연수구을)이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5년간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지역은 총 19곳, 618만 9684㎡ 규모로 이들 지역의 주택매매가격은 평균 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제지역은 경기도가 13곳, 517만 568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인천 5곳(93만 5888㎡), 서울 1곳(7만8114㎡) 순이다. 이중 작년 11월과 12월에 해제된 경기 부천, 서울 강동, 인천 남동구를 제외한 16개 지역의 주택매매가격은 평균 5% 상승했다.

지난 2014년에 21만 6000㎡ 땅이 해제된 경기 하남미사 지역은 집값 상승률이 10.7%에 달해 가장 높았다. 앞서 2013년에 해제된 경기 과천지식정보타운(8만7583㎡)과 안산 팔곡일반산업단지(14만1319㎡)는 각각 9.94%, 8.63% 상승했다. 지난 2016년 해제된 과천주암지역(71만2300㎡)은 집값이 8.24% 올랐다.

가장 적은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을 보인 곳은 경기 의정부 복합문화단지와 인천 남동구 소래어시장으로 지난해 해제된 후 올해 8월까지 1.1% 상승에 그쳤다.

현재 국토부는 서울 집값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주택 공급 확대 추진의 일환으로 그린벨트 지역 해제를 검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린벨트 지역 해제로 주택공급이 얼마나 느는지 추산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 의원측은 국정감사에 앞서 서면 질의를 통해 국토부에 ‘그린벨트 해제 시 공급할 수 있는 주택 물량 수치’를 요구했고, 이에 대해 국토부는 “주택 공급예상 물량에 대해서는 보유 자료가 없어 제출이 불가하다”는 답을 내놓았다.

민 의원은 “그린벨트 해제를 두고 정부와 서울시가 갈등을 빚으면서 시민들의 우려와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데도 정작 국토부는 예상 공급물량이 어느 정도인지도 파악하지 않고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미래세대에도 부담을 주는 그린벨트를 풀게 아니라 오래된 낡은 주택의 정비사업부터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