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해찬 “국보법 폐지·개정한다 얘기한 게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평양 발언 논란 일자 한발 물러서 / “제도개선 먼저하면 본말전도된 것 / 판문점선언 국회비준은 연내해야”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9일 최근 논란이 됐던 국가보안법 관련 발언에 대해 “(국보법을) 폐지·개정한다고 얘기한 게 아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방북단·방미특사단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대립과 대결 구조에서 평화공존 구조로 넘어가는데 그에 맞는 제도나 법률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국보법도 그중 하나라고 얘기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북·미 간 대화가 완전히 이뤄져 평화협정을 맺는 단계가 돼야 제도 개선 이야기를 할 수 있다”며 “제도 개선을 먼저 얘기하면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 5일 평양 ‘10·4 선언 11주년 기념행사’에서 “평화체제가 되려면 법률적으로 재검토할 것이 많은데, 국가보안법 등을 어떻게 해야 할지 논의해야 한다”는 이 대표의 발언을 두고 논란이 일자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일보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운데)가 9일 오후 국회 당대표실에서 열린 방북단·방미특사단 합동 기자간담회에서 방북 소감을 말하고 있다. 오른쪽은 추미애 방미특사단장. 연합뉴스


이 대표는 안동춘 북한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등과의 면담에서 “제가 살아있는 동안 절대 정권을 안 뺏기게 단단히 마음먹고 있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전당대회 때도 20년 집권론을 강조했다”며 “제가 20년을 살 수 있겠느냐”고 농담을 던졌다.

그는 판문점선언의 국회 비준에 대해선 “가능한 연내에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아울러 “남북 국회회담을 (북측에) 다시 한 번 요청했다”며 “(북측에서는) 반대하는 야당을 우려하면서도 ‘하겠다’는 답변을 했고, 원혜영 의원과 안동춘 부의장이 파트너가 돼 대화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교섭을 시작하면 어떻게 될 것인지 봐야 하는데, 논의된 바도 없고 조금 더 봐야 알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민주당 대미 외교특사단을 이끌었던 추미애 전 대표는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한·미 양국의 인식 격차를 좁히는 데 역할을 했다“며 “비핵화와 주한미군 철수를 교환하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란 점을 분명히 전달했다”고 말했다.

김민순 기자 soo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