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文 “세종대왕 한글 창제, 애민정신의 발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4년 만에 현직 대통령 영릉 참배 / “정치하는 사람 본받아 가슴 새겨야” / 李총리 “北과 겨레말사전 편찬 재개”

문재인 대통령은 한글날인 9일 세종대왕 즉위 600돌 기념행사가 열리는 경기 여주 세종대왕릉(영릉)을 찾았다. 문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영릉을 참배한 뒤 방명록에 ‘한글, 위대한 애민정신을 마음 깊이 새깁니다’라고 썼다. 현직 대통령의 영릉 참배는 1994년 이후 24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세종대왕은 일반 백성이 서로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고 목적을 밝혔는데, 그야말로 세계에서 유래 없는 애민정신의 발현”이라며 “이 시대에 정치하는 사람들이 다 본받아 가슴에 새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한글날인 9일 오후 경기도 여주 세종대왕 유적지를 방문, 세종 영릉을 정자각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에서 우승한 외국인들과 오찬을 함께 하면서 “한글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거북선과 더불어 우리 민족이 세계에 내놓은 3대 발명품 중 하나”라며 “많은 세계인이 한글을 배우길 원한다고 들었는데, 오늘 세종대왕릉을 참배하며 이러한 한글날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572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겨레말 큰사전’ 남북 공동편찬 사업을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총리는 “2005년 노무현정부는 북한과 함께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시작했으나 남북관계의 기복으로 멈췄다”며 “이제 문재인정부는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이어가려 한다”고 말했다. 공동편찬 사업은 2016년 북한의 4차 핵실험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중단된 상태다.

이 총리는 “세종대왕께서 한글과 땅을 주셨을 때는 우리 겨레가 하나였지만, 조국분단 70년은 말의 뜻과 쓰임새마저 남과 북에서 달라지게 바뀌고 있다”며 “겨레의 말과 글을 지키고 다듬으며 가꾸는 것도 우리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김민순·유태영 기자 soo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