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앵커]
그렇다면 노인들의 삶의 질, 이 부분도 다시한번 짚어볼까요. 고령이지만 직접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아시는 것처럼 이런 분들에게는 제대로 된 일자리가 대부분 별로 없습니다.
이어서 이수진 기자입니다.
[기자]
색연필을 쥔 손은 모진 세월에 굳어 있습니다.
여든 평생 처음 그려보는 그림입니다.
노인들의 그림으로 엽서를 만들어 파는 한 사회적 기업의 일자리 기획 사업 현장입니다.
폐지를 주워 생활하는 노인들이 모였습니다.
이렇게 3시간씩 사흘 일해서 7만 원 조금 안 되는 돈을 받습니다.
[민순례/82세 : 이게 좋죠. 포장하고 이런 게 좋죠. 박스 (줍는 건) 더우면 냄새나고 추우면 손가락이 얼어서 주우러 다니고 그래요.]
흰 반죽을 빚는 손이 분주합니다.
2시간 동안 빵 100개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수입은 매달 60만 원 남짓.
노릇하게 튀긴 꽈배기가 잘 팔릴 때면 자부심도 느낍니다.
[김경화/70세 : 여기 오면 일터라기 보다 내 놀이터 같은 느낌이 들어요.]
돈과 보람을 함께 느끼는 직장, 노인에게는 흔하지 않습니다.
통계청 조사를 보면 노인 인구의 58%는 취미생활을 하며 노후를 보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비율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일하는 노인은 많은데 빈곤 상황에 놓인 고령층도 10명 중 4명을 넘었습니다.
제대로 된 일자리는 적고 복지도 충분하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실제 노인 일자리 대부분은 단순 노무직이나 임시직, 일용직입니다.
[심현보/아립앤위립 대표 :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 어르신을 발굴했다 하더라도 실제 일거리와 잇는 데는 다양한 부분에서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일거리가 많지 않은 것도 있고.]
노인에게 맞는 일자리 창출과 그 질을 높이기 위한 재교육 시스템.
고령 사회에 진입한 우리가 시급히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영상디자인 : 최석헌)
이수진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