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최연소 주민 '71세'…'고령사회' 한국, 마을이 사라진다

댓글 7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을 통째로 사라질 위기감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령화사회'를 넘어 선진국에 비해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가 된 우리나라입니다. 노후 대비가 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보도도 얼마전에 해드렸었는데, 이번에는 태어나는 아이는 없고, 노인인구가 많아서 통째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지방의 마을 얘기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김태형 기자입니다.



[기자]

길에는 노인만 눈에 띕니다.

뛰어노는 아이들은 보이지 않습니다.

놀이터는 텅 비었고, 미끄럼틀은 녹이 슬었습니다.

마을회관 바닥에는 주민들의 약봉지가 쌓여 있습니다.

거동이 어려운 노인이 늘면서 회관을 찾는 발걸음도 뚝 끊겼기 때문입니다.

[장남집/마을 이장 : 유곡리 마을이 없어질까 봐 이제 걱정이 되는 거지.]

빈집 마당에는 잡초가 무성하고, 부서진 집기가 가득합니다.

마을주택 60여 채 가운데 10집은 주인이 없습니다.

고령으로 집주인이 숨지면서 자연히 방치됐습니다.

이 마을 평균 연령은 70대 중반.

최연소 주민이 71살입니다.

[김성미/부녀회장 : 우울감도 있고 또 자신감도 없어지고 그래요. 우리들이 떠나고 이 마을이 없어지면 우리 시집 고향은 아주 없어지는 거지.]

이런 상황은 농어촌 지역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소멸 위험 지역은 2013년 75곳에서 올해 89곳으로 늘었습니다.

전국 읍면동 가운데 없어질 위험이 큰 곳은 1503곳으로 계속 늘고 있습니다.

대도시에 속한 부산 중구와 영도구, 동구 등도 소멸 위험 지역입니다.

노령인구가 늘면서 시골 마을부터 광역대도시까지 인구절벽 현상이 본격화하는 양상입니다.

김태형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