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고령화' 넘어 '고령사회'…일흔 넘어도 일손 못놓는 노인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가 넘는 사람들의 비중이 14%를 넘어섰습니다. 이 14%는 고령화 사회를 넘어 고령사회가 되는 기준입니다. 그래서 가장 큰 관심사 가운데 하나가 바로 노후 준비죠.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 일흔이 넘어도 일을 하고 있는 경우가 OECD회원국 가운데 우리가 가장 높다고 합니다.

송지혜 기자입니다.



[기자]

7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는 738만여 명으로 외국인을 포함한 전체 인구의 14.3%에 달했습니다.

처음으로 고령사회 기준인 14%를 넘어서는 것입니다.

UN은 이 비중이 7%가 넘으면 '고령화사회', 14%가 넘으면 '고령사회', 20%가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합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데 이어 18년 만에 고령사회로 들어섰습니다.

24년이 걸린 일본과 비교해도 매우 빠른 속도입니다.

이대로 가면 5년 뒤인 2023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되고, 2060년에는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41%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령화 속도가 워낙 빠르다보니 노후대비는 크게 부족한 상황입니다.

생활비를 벌기 위해 일흔이 넘어서도 일손을 놓지 못하는 노인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70~74세 고용률은 33.1%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습니다.

[79세 노인/주차관리 : 현직에서 나와서 15년 정도 되니까 퇴직금은 거의 바닥이 났지. 생활 유지를 하려면 어쩔 수 없이 내가 일선에 나와야 한다는 말이에요.]

통계청 설문조사 결과 취업을 원하는 노인의 59%는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서'라고 답했고, '일하는 즐거움을 찾기 위해서'라는 응답은 33%에 그쳤습니다.

(영상디자인 : 배장근)

송지혜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