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손학규 "文대통령, '소득주도성장' 장하성·김동연 경질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장하성, 정책 잘못에도 억지부려…김동연, 항의조차 못하고 슬쩍 피한 무책임"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27일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주역인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부터 경질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최저임금법 시행령 관련 경제단체 간담회에 참석해 "문재인 대통령은 이제라도 올바른 경제부총리를 세워 모든 책임을 지게 하고, 청와대는 일선에서 물러서도록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손 대표는 "곳곳에서 최저임금 인상으로 아우성인데도 정부는 '과거 정부의 정책실패가 지금 나타나고 있다', '정책시행의 통증'이라며 강변한다"면서 "이제는 더 이상 참을 여유가 없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전면 폐기하고 최저임금 인상을 멈춰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손 대표는 장 실장과 김 부총리의 경질을 요구하면서 "장 실장은 개인적으로 막역한 사이지만 정책을 잘못 쓰고도 억지를 부리고 실상을 왜곡한 잘못은 바로잡아야 한다"며 "김 부총리 역시 국가 경제 운영의 최고 책임자인데도 제대로 항의 조차 못하고 슬쩍 피해가는 무책임한 자세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 대표는 아울러 "문 대통령은 '경제는 시장에서 움직이고, 일자리는 기업을 만든다'는 철학을 분명히 갖고 새롭게 임해야 한다"면서 "'기업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는 철학을 갖고 정책을 만들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김관영 원내대표는 정부가 최저임금 산정 근로시간에 주휴시간 등 유급으로 처리되는 시간을 포함하도록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작업에 착수한데 대해 "유급처리 시간이 최저임금 산정 근로시간에 포함되면 토요일을 유급으로 처리하는 기업은 부담이 늘고, 무급처리하는 근로자와의 소득양극화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지금의 경제위기상황에서 기업 부담 가중시키는 시행령 개정을 중단하고 대법원 판례 존중하는 새로운 논리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고용노동부는 사태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정책을 전환 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