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민족 대명절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과 상차림 금지 음식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은? /더팩트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범? 5열 상차림이 기본

[더팩트|박슬기 기자]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추석차례상 차리는 방법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반적인 상차림은 5열이다. 1열은 술잔과 밥, 송편을 놓는다. 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2열은 적과 전을 놓는 줄이다. 육류는 왼쪽에 생선은 오른쪽에 놓는다. 이때 생선 대가리는 오른쪽을 향하게 한다.

3열은 탕을 놓는 줄이다. 고기탕, 두부탕, 생선탕 순으로 올리고 5탕으로 할 때는 닭이나 오리탕, 잡탕 등을 더 올린다. 4열은 포와 나물을 놓는다. 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를 놓는데 그 중간에 나물(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을 올린다. 삼색 나물이라고 해서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나물을 쓰기도 한다.

5열은 과실을 놓는다. 왼쪽부터 대추, 밤, 감, 배, 사과 순으로 차리고 그 외에 나무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놓는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류를 놓는다.

5열 상차림을 사자성어로 묶으면 좌포우혜(왼쪽 포, 오른쪽 식혜), 어동육서(동쪽에 생선, 서쪽에 육류), 홍동백서(동쪽에 붉은 과일, 서쪽에 흰색 과일), 조율시이(왼쪽부터 대추, 밤, 감, 배), 두동미서(동쪽에 생선 대가리, 서쪽에 꼬리), 반서갱동(서쪽에 밥, 동쪽에 국), 생동숙서(동쪽에 김치나 동치미, 서쪽에 나물), 직전중앙(중앙에 적과 전), 건좌습우(왼쪽에 마른 것, 오른쪽에 젖은 것), 접동잔서(동쪽에 접시, 서쪽에 잔), 좌면우방(왼쪽에 국수, 우측에 떡) 등이다.

차례상에 올리지 말아야 할 음식도 있다. 삼치, 갈치, 꽁치 등 '치'자가 든 생선이다. 예로부터 '치'자가 들어간 것은 흔하고 천한 생선으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알려졌다. 복숭아나 붉은 팥, 마늘 양념 역시 차례상 음식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