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고령화 여파 암·폐렴 사망자 역대 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7년 사망통계원인 발표 / 28만5534명 사망… 2016년比 1.7%↑ / 80세 이상 45%… 10년 새 13%P↑ / 사망원인 1위 암… 7만8863명 달해 / 자살은 5위… 10∼39세서 높은 비중

지난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역대 최대인 8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층 인구가 늘면서 전체 사망자 수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19일 통계청이 공개한 ‘2017년 사망통계원인’을 보면 지난해 행정기관에 신고된 사망자 수는 28만5534명으로 전년보다 4707명(1.7) 늘었다. 사망자 수는 198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조(粗)사망률은 557.3명으로 2016년보다 7.9명(1.4) 증가했다. 통계청은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사망자 수가 늘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사망자 가운데 8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44.8로 10년 전보다 13.5포인트나 늘었다.

사망 원인별로 보면 암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암 사망자는 통계 작성 후 최다인 7만8863명으로, 전체의 27.6를 차지했다.

인구 10만명당 암으로 사망한 이들의 숫자를 나타내는 암 사망률은 153.9명으로 2016년보다 0.6 증가했다. 암 종류별로는 폐암(35.1명), 간암(20.9명), 대장암(17.1명), 위암(15.7명), 췌장암(11.3명) 순으로 높았다.

세계일보

지난해 사망 원인 2위는 심장질환(사망자 3만852명)이었고 뇌혈관질환(2만2745명), 폐렴(1만9378명), 자살(1만2463명) 당뇨병(9184명), 간 질환(6797명), 만성 하기도 질환(6750명), 고혈압성 질환(5775명), 운수 사고(5028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폐렴은 지난해 사망자 수와 사망률(37.8명)이 통계 작성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폐렴은 2004년에는 사망 원인 순위 10위였으나 꾸준히 순위가 상승해 2015년부터 4위를 유지하고 있다. 당국은 고령화의 영향으로 폐렴으로 인한 노인 사망자가 늘어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연령별로 사인을 살펴보면 10∼39세는 자살이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자살률)는 24.3명으로, 2016년보다 1.3명(5.0) 줄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9명)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