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진원·확산 경로 추적해보니
경기-대구-서울 소재 학교 거쳐
학교 동참할 때마다 트윗량 폭증
“익명성 보장 … 고질적 문제 고발”
“검증 안 된 사안 퍼뜨려” 우려도
‘#스쿨미투’ 운동을 촉발시킨 충북여중 학생의 첫 트윗. 지난 7일 작성된 이 트윗을 시작으로 스쿨 미투 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됐다. [트위터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일에는 대전의 한 사립 여자고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학생들을 상대로 성희롱하고 성차별 발언을 수차례 가했다는 내용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공개되면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학교가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이를 비롯해 9월 들어서 전국 20개에 달하는 중·고교에서 ‘스쿨 미투’ 운동이 벌어졌다.
특히 지난 7일 오후 8시 충북여중 학생이 남긴 한 트윗은 학생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이 학생은 이날 오후 학교 축제에서 댄스 동아리 학생들을 촬영한 남성에 반발해 140자 트윗을 남겼다. 학교의 미온적 대처를 지적하면서 “불법촬영을 넘어 교내의 고질적인 성희롱과 성추행 문제를 공론화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이틀 만에 전국에서 비슷한 경험을 겪었다는 학생들의 폭발적인 동참으로 일명 ‘#스쿨미투’ 현상이 촉발됐다. 중앙일보는 트위터와 함께 스쿨미투와 관련한 트윗 통계를 바탕으로 사건의 진원지와 학생들의 연대가 확산된 경로를 추적했다.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트위터가 집계한 ‘#충북여중_미투’ 트윗은 94만8300건, ‘#청주여상_미투’ 트윗은 95만4000건이었다. ‘#충북여중_미투’ 해시태그가 붙은 트윗량은 8일 새벽 5600건으로 올라선 뒤 9일 저녁 6만 건, 10일 저녁 한때 10만 건을 기록하며 크게 증가했다. 트위터에선 이를 ‘스파이크(spike) 현상’이라 부른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청주여상 미투 트위터 계정을 운영중인 김모(19)양은 “충북여중 학생의 트윗을 보고 용기를 내 청주여상 미투 계정을 운영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현재 스쿨미투에 연루된 학교들은 교육청 감사와 학교 전담경찰관의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선 미투 사건과 스쿨미투의 다른 점은 학생들이 ‘익명성’을 기반으로 둔 트위터에서 활동한다는 사실이다. 폭로의 당사자가 직접 언론에 나서던 과거 양상과는 구분된다. 서울 광남중 미투 계정을 운영하고 있는 여학생 A양(15)은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과 달리 익명성이 확실해 트위터에서 미투운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각 학교의 미투 계정에선 선생님들이 “여자가 야하게 입고 다니면 남자들은 성욕을 참을 수 없다” “여자들은 허벅지가 튼실해야 한다” 등의 성희롱적 발언을 했다는 제보가 올라온다. 오해를 받은 당사자의 해명도 실으며 트윗 계정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중이다. 최진순 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 겸임교수는 “청소년들이 다른 소셜 미디어와 달리 트위터에선 자신의 주장이 왜곡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스쿨미투가 전국적인 현상이 된 뒤 학생들과 전문가 사이에선 “터질 게 터졌다”는 반응과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 무차별적으로 알려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동시에 나왔다. 서승희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대표는 “교내 고질적인 문제가 터져 나온 것”이라며 “침묵하던 학생들이 최근 미투운동과 온라인 페미니즘의 물결을 타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규 한국언론학회장(중앙대 교수)은 “트위터에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이 확산될 수 있어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박태인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