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식업 경기동향지수 역대 최저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인건비도 문제죠. 곡류, 채소류, 수산물, 축산물 등 안 오른 것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임대료가 하락합니까. 악화일로에요. 생존을 위협받고 있습니다."(광명 A 백반집 사장 김 모씨)
"주말도 없이 밤낮으로 일하고 있는데, 봉급생활자보다 더 못 벌어요. 그들 눈에는 임대료, 카드수수료, 인건비, 원재료값 상승 등이 보이지 않겠죠. 내년엔 최저임금이 더 오르잖아요.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는 사치입니다."(일산 B 치킨집 사장 최 모씨)
대한민국의 자영업자 570만명. 알록달록한 가판을 달고, 전국 골목 곳곳에 자리한 상가에서는 곡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전 산업 중에서 폐업률이 가장 높은 외식 자영업자들의 비명은 절규에 가깝다. 내수의 '바로미터'인 외식산업 경기지표는 모든 부분에서 '악화일로'다. 특히 전통시장의 음식점업 경기동향지수는 2014년 이후 처음으로 30대 수준까지 떨어졌다.
소상공인 생존권 운동연대가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최저임금 제도개선 촉구 국민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는 모습. /문호남 기자 munona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일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외식산업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내 음식점업을 하는 자영업자들의 시장경기동향은 각각 52.1, 34.4로 집계됐다. 지난 5월 72.0, 60.8에서 6월 57.8, 50.9로 하락한 이후 7월에는 30 수준까지 하락한 것이다. 100 초과이면 호전이지만 100 미만이면 악화다. 전통시장 동향지수가 30대 수준인 것은 통계가 공개된 2014년 이후 처음이다.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 역시 밝지 않다. 전 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80.9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 86.6에서 5월 86.3, 6월 85.3으로 계속 하락세다. 숙막 및 음식점업은 75.0다. 100미만이면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향후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얘기다.
식자재값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임대료 역시 2014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은 "쌀, 배추, 무, 건멸치, 계란, 닭고기, 돼지고기 등의 7월 가격이 모두 전월과 비교해 올랐다"며 "소규모, 중대형 상가 임대료 모두 수년간 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외식업경기지수 역시 위축된 상황이다. 외식업경기지수는 지난 7월 68.98로 집계됐다. 지난 3월 69.45에서 하락한 후 4개월째 동결이다. 외식업경기지수는 50~150을 기준으로 100이 초과하면 성장, 100 미만은 위축을 의미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식산업연구원은 외식업경기지수가 60 후반대 머무는 가장 큰 요인으로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꼽았다. 외식산업연구원의 사업체 노동력 통계에 따르면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의 평균 전체 임금 총액은 168만원(2014년)에서 계속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는 190만원~200만원 수준이다.
한국외식업중앙회가 전국 외식업체 285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77.5%가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 경영상태가 악화됐고 80%는 앞으로도 나빠질 것이라고 답했다. 폐점도 봇물을 이룬다. 고용노동부 고용보험통계 조사결과 1년간(2017년 6월~2018년 5월) 음식점업 3367개가 문을 닫았다. 내년에는 이보다 더 증가할 것이란 게 업계의 지배적인 전망이다. 서용희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극심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많은 외식업체가 폐업, 전업을 고려 상황은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