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목·허리 디스크 통증 치료 초기에 다스려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약물·내시경·미세현미경 이용

절개·절제 부위 최소화해 치료

만성·중증화 막고 합병증 줄여

진화하는 척추관절 치료법 목·허리 통증 때문에 괴로워도 적극적으로 진단·치료를 받지 않는 사람이 적지 않다. 치료에 거부감을 갖고 진통제를 먹거나 찜질을 하며 통증을 참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질병이 만성·중증으로 악화한다. PMC 박병원 박진규 원장은 “척추관절 질환에 대한 오해 중 하나는 중증이 돼야만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인식”이라며 “이젠 질병의 경중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 다양해졌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PMC 박병원 박진규 원장이 척추관절 질환의 경중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술·수술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동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 척추관절 치료는 중증인 상태에서 수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치료 방법도 한정적이어서 진단이 나오더라도 마땅한 치료법이 없는 탓에 방치했다. 하지만 지금은 의료 기술·기기가 발달하면서 수술의 위험과 부담을 던 다양한 치료법이 나와 환자의 선택권이 넓어졌다. 부분 마취를 하고 수㎝ 내로 작게 절개를 해 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최소침습 분야가 특히 발전했다.

염증 부위에 정확히 접근해 항염 치료

최소침습 치료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특수 약물치료다. 과거에는 스테로이드 주사만 주로 썼지만 지금은 원인을 개선하는 약물치료가 다양하다. 대표적인 게 특수 약물을 주입해 염증 부위를 씻어내는 ‘라츠(RACZ·경막외신경성형술)’다. 통증을 일으키는 염증은 척추 뼈 사이 충격을 완화하는 디스크(물렁뼈)가 손상되면서 생긴다. 라츠는 뇌·심장 혈관에 쓰이는 카데터를 변형한 것으로 기구 끝이 유연해 혈관 사이를 섬세하게 뚫고 지나가 손상된 디스크에 정확히 접근할 수 있다. 박진규 원장은 “감각 이상이나 마비 같은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우선 해볼 만한 치료가 라츠”라며 “라츠로 만성·중증으로 가기 전 염증을 가라앉힐 수 있어 수술까지 가는 환자가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둘째, 내시경 치료다. 요추(허리)에 많이 쓰이며 1㎝ 정도의 병변을 치료한다. PMC 박병원 척추센터 박창규 소장은 “PELD(내시경 레이저 디스크 제거술)는 옆구리를 7~8㎜ 절개한 뒤 내시경으로 탈출한 디스크 조각을 제거한다”고 말했다.

셋째, 미세현미경 치료다. 신경 다발이 많이 지나가는 경추(목)와 흉추(등)에 주로 쓰인다. 또 뼈가 덧자라거나 협착증이 있는 복합 질환인 경우와 종양에도 쓰인다. 미세현미경 치료 중 하나가 ‘ULBD(후관절 보존 편측 척추후궁절제술 후 양측 신경감압술)’다. 박창규 소장은 “ULBD는 좁아진 신경관 때문에 신경이 눌리는 협착증에 널리 쓰인다”며 “신경관협착증을 동반한 척추전방전위증에서도 기존 나사못 고정술 등의 대안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가 전방으로 밀려 불안정해지는 흔한 척추 질환이다.

젊을수록 적극적 진단·치료 필요

합병증은 척추관절 수술에서 환자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다. 박 원장은 “신경 주변에는 혈관이 많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혈관을 제대로 지혈하면서 수술해야 하는데 난도가 높다”고 말했다. PMC 박병원 의료진(박진규·박창규)은 2016년 ‘세계정형외과 학술대회’에서 목 디스크 수술 시 신경 주변 혈관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지혈하는지에 따라 신경 손상 정도와 마비·혈종 같은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탈출된 디스크와 신경근을 감싸고 있는 정맥총(혈관 덩어리)을 충분히 개방하고 지혈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척추관절 질환은 이상이 생긴 부위를 치료하면서 운동 등을 병행해야 상호 보완이 이뤄져 치료 결과가 좋아진다. 통증을 조절·완화하는 물리치료·찜질과 척추 주변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 시술·수술 같은 치료는 각각 역할이 다르다. 박진규 원장은 “젊은 연령층에서도 다양한 질환이 많지만 원인도 모른 채 막연히 통증만 조절해 일을 크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며 “평균 수명이 길어진 만큼 젊을수록 진단을 적극적으로 받아 조기에 치료해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TIP 이런 증상 있으면 진단 받아보세요

● 한쪽 혹은 양쪽 허리가 시큰하거나 찌릿하다

● 자세를 바꿀 때 통증이 심해진다

● 앉았다 일어날 때 허리가 잘 안 펴진다

● 목을 움직일 때 어깨 쪽으로 통증이 있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