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농촌 고령화 대안으로 활용도 높은 농지연금 인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나주=나요안 기자] [ 가입자 중심 상품설계 …고령 농가 소득 부족분 해결에 큰 도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가 운영하는 농지연금의 신규 가입자 수가 8월말 기준 전년대비 44%가 늘어난 1948명을 기록했다. 누적가입건수는 1만579명에 달한다.

이는 작년 전체 신규가입건수인 1848명을 넘어선 기록이다. 공사는 올 연말까지 1만2000명의 신규 가입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이처럼 농지연금의 꾸준한 인기의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가입자 중심의 상품설계 때문이라는 견해를 내놓았다.

우선, 통상 금융상품과 달리 농지연금은 가입자가 부담하지 않고 운영자가 부담하기 때문에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상품가입 후 해당 농지를 직접 농사짓거나 임대를 통해 추가 소득 창출이 가능하고, 세 번째로는 고령농가의 소득 보전 효과가 꼽힌다. 실제로 70세 이상 고령농가의 연간 소득 부족액이 718만원이고, 농지연금 가입자의 연평균 수령액은 1171만원으로 생활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머니투데이

고령 농업인 농가경제조사 그래프.


네 번째는 총 5종의 다양한 상품개발로 가입희망자의 여건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고, 가입 후 일정요건을 갖추면 해지할 수 있으며, 토지가격의 등락에 관계없이 매년 일정액을 수령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재산세 등 절세효과, 연금가입 후 후계인력(자손)에 의한 농사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지은행 관계자는 “현재 우리 농촌이 고령사회로 접어든 만큼, 고령농가의 생활안정 수단으로 농지연금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며“연금이 필요한 농업인이 가입할 수 있도록 홍보와 지속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지연금은 만 65세 이상, 영농경력 5년의 조건을 갖추고 보유농지가 공부상 전·답·과수원으로 실제 영농에 이용되면 가입이 가능하다.

나주=나요안 기자 lima68@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