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 “소득주도성장에 2050세대·수도권 등 찬성여론 과반”
경제정책엔 ‘경제성장’ 중점 49% vs ‘소득분배’ 40%
‘소득주도성장 반대 우세’ 자체 결과 발표한 한국당 “아부의 극치”
한국갤럽이 지난 28~30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31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소득주도성장정책 방향에 대한 ‘찬성’ 응답률이 60%로 집계됐다. ‘반대’는 26%였고, 14%는 판단을 유보했다.
응답자 특성별로 따져봐도 소득주도성장 정책 방향 찬성이 대부분 우세했다. 특히 연령별로 봤을 때엔 20대 69%, 30대 75%, 40대 63%, 50대 56%로 2050세대까지 과반을 기록했다. 60대 이상에선 찬성 45%, 반대 3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정의당 지지층(약 80%)에서 두드러졌고,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는 반대가 50%를 웃돌았다.
지역별로는 전 지역에서 찬성 여론이 절반 이상이었다. 서울과 인천/경기, 광주/전라에서 60%를 넘었고,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도 52%, 부산/울산/경남 55%였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 70%, 학생 65%, 블루칼라 64%로 높게 나타났다. 자영업과 가정주부는 각각 54%로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과반이었고, 무직/은퇴/기타에선 43%를 기록했다.
다만 정부가 경제 정책에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중 어느 쪽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엔 49%가 ‘경제성장’, 40%는 ‘소득분배’를 답했고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2030세대는 약 55%가 ‘소득분배’를, 50대 이상은 약 60%가 ‘경제성장’을 더 중시했으며 40대에서는 ‘경제성장’ 46%, ‘소득분배’ 48%로 의견이 비슷하게 갈렸다.
소득분배를 우선시하는 사람들(400명) 중에서는 84%가 소득주도성장 방향에 찬성했다. 그러나 정부가 소득분배보다 경제성장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답한 사람들(493명)에선 찬반 격차가 1%포인트로 팽팽하게 갈렸다.
갤럽은 “소득주도성장 정책 방향에는 찬성이 우세하지만 현 정부 경제·고용노동 정책 평가는 부정적”이라며 “정책 방향에 대한 찬반과 정책 효과는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동반되는 부작용이 다수 지적되긴 하지만 소득주도성장의 지향점은 결국 경제성장이므로 일부는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을 가능성도 있다”며 “따라서 여야 정치권은 소득주도성장론 자체의 옳고 그름만을 따지기보다 정책 실행 방법과 속도 측면에서 변화와 묘수를 찾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제언했다.
전날 발표된 리얼미터 조사 결과에선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 3축 경제정책과 지속가능한 일자리확대 정책에 대해서도 ‘옳은 방향’이란 응답률이 49.0%였다. ‘잘못된 방향’이란 부정평가는 32.4%였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4.4%p)
반면 같은 날 한국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내놓은 자체 조사 결과에선 소득주도성장정책 효과가 나올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은 28.3%인 반면, 보완·수정·폐기 의견은 66.7%로 집계됐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2.17%p)
이를 근거로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31일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내용만 담은 문항자체가 여론조작”이라며 “문재인정권의 주사를 맞았는지, 아부의 극치로 가져가지 않으면 사업운영이 안되는지 국민이 납득 안되는 조사방식을 쓰면서 국민에게 매주 공표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한편 한국갤럽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총 7497명에 통화를 시도했으며,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을 통해 10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응답률은 13%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