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김동연-장하성 정례회동…"고용·분배 관련 심도 있는 논의"(종합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 일자리 발굴하고 고용산업위기 지역에 목적예비비로 조기 지원"

靑 "'핀셋대응'에 필요한 자료 분석하기로…부동산 문제도 논의"

연합뉴스

화기애애한 김동연-장하성



(서울=연합뉴스) 이율 박경준 기자 =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29일 두 번째 정례회동을 하고 고용 및 분배 상황과 관련 대책에 대해 허심탄회하고 폭넓은 논의를 했다고 기획재정부가 29일 밝혔다.

김 부총리와 장 실장은 이날 서울 통인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만나 고용지표 악화 등 최근 현안으로 떠오른 경제 문제들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회동에는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과 김영배 정책조정비서관, 고형권 기재부 1차관 등도 동석했다.

고형권 차관은 "최근 폭염·폭우로 인한 피해및 대책, 고용 및 분배상황과 관련 대책, 최근 주택시장 동향과 시장안전 조치 등에 대해 매우 허심탄회하고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고용 및 분배와 관련해서는 연령별, 업종별, 종사상지위별 고용시장 동향 등에 대해서까지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와 장 실장은 향후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조해 지역일자리를 집중적으로 발굴하고, 고용 및 산업위기 지역에 대해서는 목적예비비 등을 활용해 조기에 실효성 있는 지원대책을 마련·추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회동에서는 경제 현안 중 문제가 있는 부분에 대한 '핀셋대응'이 요구될 수 있는 만큼 경제지표와 관련한 정확한 자료 분석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고용 사정이 악화한) 일용직 부문 등의 데이터들이 정밀하게 분석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었다"며 "긴급한 경우 재정을 빨리 집행할 수 있는 만큼 그에 필요한 자료들을 서둘러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는 부동산 현안도 논의됐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참석자들은 앞으로도 정기적 회동을 통해 현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필요시 관계부처 장관도 참석해 현안을 긴밀히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앞서 이날 회동 장소에 먼저 도착한 장 실장은 "차분하게 여러 가지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고, 곧이어 온 김 부총리는 "늦어서 죄송하다"며 장 실장과 악수하고 인사를 나눴다.

'경제정책 투톱 갈등설'을 의식한 듯 장 실장은 기자들 앞에서 악수하면서 김 부총리에게 "손을 꽉 잡으시죠"라고 제안했다.

김 부총리는 이날 오전 원주 건강보험공단에서 열린 공공기관장 워크숍에서 이미 한 차례 만난 것을 언급하면서 "요새 매일 보다시피 하는데 이런 게 왜 뉴스거리가 되는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 실장님을 수시로, 자주 만나고 회의에서 보기도 한다"고 밝혔다.

장 실장도 "국회에서도 말했지만, 회의 때 이래저래 만나는데 뭐가 문제인가"라며 김 부총리와의 갈등설에 선을 그었다.

경제정책 '투톱' 간의 갈등은 고용 쇼크에 가까울 정도의 고용지표 발표 이후 재차 부각됐다.

김 부총리는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고용상황 관련 긴급 당·정·청 회의에 참석해 "그간 추진한 경제정책도 효과를 되짚어 보고 관계부처·당과 협의해 개선·수정하는 방향도 필요하다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의 발언은 "송구스럽지만, 정부를 믿고 조금만 기다려달라"는 청와대 장하성 정책실장의 발언과 대조를 이뤘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청와대와 정부의 경제팀 모두가 완벽한 팀워크로 어려운 고용상황에 정부가 최선을 다한다는 믿음을 주라"며 우회적으로 두 사람의 갈등설을 지적하기도 했다.

김 부총리와 장 실장은 지난달 6일 조찬을 함께한 뒤 격주로 정례회동을 하기로 했으나, 김 부총리의 출장 일정 때문에 미뤄지다 한 달 반여 만에 두 번째 정례회동을 하게 됐다.

연합뉴스

정례회동에서 현안논의 하는 경제 사령탑들



yuls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