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임시·일용직 23만 줄고 영세자영업 10만 폐업…온통 빨간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당·정·청이 휴일인 어제(19일) 비상 대책 회의를 개최할 만큼 실업난은 심상치 않습니다. 지난달 임시 일용직 근로자와 영세 자영업자 수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동 시장 구조가 바뀌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일자리 취약 계층이 특히 타격을 입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어환희 기자입니다.



[기자]

60~70대 아파트 경비원들은 요즘 걱정이 많습니다.

[70대 경비원 : 내년에 제가 이거 그만두는데 이리저리 알아보니까 70은 좀 들어가기 어려워요. 몸 건강하면 일을 해야지 집에서 뭐하겠습니까?]

이들의 계약 기간은 보통 6개월에서 1년 입니다.

[60대 경비원 : 최저임금 때문에 여기서 사람을 줄인다고. 돈 올라가니까. 많이 걱정하지, 나이 많이 먹은 사람들은.]

지난 달 임금 근로자 중 임시직 근로자는 전년대비 10만 8000명, 일용직 근로자는 12만 4000명 각각 줄었습니다.

고용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 일용직은 주로 취약 계층이 몸 담고 있습니다.

고용재난, 고용절벽으로 불리는 현재 경제 상황이 일자리 양극화를 부채질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공사장 일용직 노동자 : 사람들이 다 그 일을 안 하려고 하니까 문제지. 대학 나와서 이런 노가다(막노동) 하겠어요?]

지난달 고용원이 없는 '나 홀로 자영업자'는 작년보다 10만 2000명 줄었습니다.

소비 부진이 이어지면서 가게 문을 닫는 영세 자영업자들이 는 것입니다.

이렇게 일하기 어려운 사회에서 올 상반기 장기 실업자는 월평균 14만여 명으로, 18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취업을 포기한 '구직 단념자'는 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영상디자인 : 송민지)

JTBC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