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1 (화)

[기자수첩]드론 자격증의 허와 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드론 자격증 시험은 드론 자율비행 연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자격증을 소지했지만 현장에 투입할 수 없어 돌려보낸 적도 있습니다.”

국내 무인기 산업계 원로가 전한 쓴소리다. 자격증 소지자 가운데 실제 운용 역량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추가 교육을 따로 실시해야 할 정도라는 토로도 곳곳에서 흘러나온다.

현행 자격증 제도 문제 제기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안전성과 다양성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기에 문제가 발생했을 시 수동으로 전환해서 조종할 역량까지 갖춰야 안전사고에 완벽히 대비할 수 있다.

또 날개가 달린 고정익 드론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현재 드론 자격증과 이를 위한 교육은 프로펠러가 달린 멀티콥터 드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건축, 농업 등 다양한 산업별로 특화된 교육 역시 부족하다. 군집비행과 자율비행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이를 활용하는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도 소수에 그친다.

드론 자격증 소지자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취득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무인멀티콥터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은 2872명으로 1년 전보다 6배 이상 늘었다. 올해는 6월까지만 4504명을 기록, 반년 만에 지난해 전체 취득자 1.5배를 넘어섰다. 누적 취득자가 8641명인 점을 감안하면 올해 드론 자격증 취득자는 1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교육기관도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드론 자격증 러시를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드론 자격증 수요가 늘었다는 기사마다 자격증이 돈벌이 수단으로 되고 있다는 원색적인 비판 댓글이 달린다. 이런 논란을 불식하고 내실 있는 고용 효과를 창출하려면 자격증 제도가 심도 있게 바뀌어야 한다. 현장 중심, 수요 중심으로 취득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오대석기자 ods@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