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9월 종전선언 현실화?…폼페이오 방북 '빅딜' 관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폼페이오 방북, 핵신고-종전선언 빅딜 시사

김정은 UN총회 참석, 종전선언 가능성 열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9월 말 유엔총회 계기 종전선언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을 통한 핵신고와 종전선언간 ‘빅딜’의 막판 조율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과 실무접촉을 이어가고 있는 한미 양측에서는 최근 종전선언을 시사하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14일(현지시간) 강경화 장관과 남북 고위급회담 결과를 공유하는 통화를 가진 뒤 트위터를 통해 “미국과 북한은 FFVD(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도니 비핵화)를 위해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진전이 이뤄질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북미는 앞서 지난 12일 판문점에서 실무 접촉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지난 15일 광복절 기념 축사에서 “9월 평양에서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종전선언으로 가기 위한 담대한 발걸음을 내디딜 것”이라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협상 이후 이뤄지는 내달 정상회담에서 종전선언의 중요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북미간 물밑협상을 바탕으로 한 한미간 조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앞선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9월 남북 정상회담의 시기를 특정하지 않은 것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협상에 따라 유동적인 상황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결국 지난달 초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협상 이후 핵시설신고-종전선언의 선후를 놓고 줄다리기를 이어가던 북미가 빅딜을 이뤘다는 분석이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앞서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미국이 원하는 건 핵리스트를 제출하라는 것과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서 더 나아가서 (핵무기의) 60~70% 만이라도 폐기를 하라는 것”이라며 “북한이 최소한 미국의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폐기는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빈손 방북’ 비난에 시달렸던 폼페이오 장관이 성과에 대한 확신없이 재방북을 추진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물밑협상을 통해 확인한 핵시설신고와 종전선언간 빅딜을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으로 매듭지으면, 종전선언은 9월 말 유엔총회를 계기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9월 18일부터 진행되는 유엔총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리용호 외무상은 29일로 연설 일정이 잡혀있다. 북미간 협상 이후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유엔 총회 참석을 설득할 수 있다. 김 위원장으로서도 유엔총회에 직접 참석해 종전선언을 이뤄내면 10·10 노동당 창건일에 맞춰 가시적인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북미가 40여일간 교착상태 이후 재개하는 협상을 통해서 향후 이같은 상황의 반복을 막기 위한 연락사무소 개소 등의 진전된 조치에도 합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15일(현지시간) WP 기고를 통해 “무엇이 먼저여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교착상태에 빠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외교적 과정을 넓혀야 한다”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평양과 워싱턴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