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김성태 "탈원전, 여야정협의체 첫 의제로"…文대통령 "경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6일 靑 초청 5당 원내대표 오찬 뒤 기자간담회

"탈원전 속도·방향 조절 문제 다뤄달라 요구"

文대통령 "김성태 요구에 경청으로 정리하자"

"규제개혁, 민주당 과거 시비 안 걸겠다" 약속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유태환 기자]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16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 간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 “여·야·정상설협의체 첫 공식 의제로 탈(脫)원자력발전소 정책 속도와 방향 조절을 다뤄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김 원내대표가 요구했고 대통령은 이를 경청했다고 정리하자”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청와대 오찬 회동 뒤 국회에서 관련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그만큼 앞으로 여·야·정상설협의체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여야 5당 원내대표는 이날 여·야·정상설협의체 구성과 분기별 1회 개최 원칙을 합의하고 오는 11월에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

김 원내대표는 회동에서 가장 견해차가 컸던 사안도 탈원전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심지어 제가 중동 건설 현장 경험도 있으니 사우디아라비아 원전공사 수주를 위해 적극 협력할 생각도 있다고 했다”며 “탈원전 입장 수정을 끊임없이 요구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도 70~80년은 돼야 탈원전이 된다고 했다”며 “그것도 제가 문제 삼았다. 원전 건설 백지화 자체가 대한민국 원전을 없애겠다는 것 아니냐”고 반발했다.

다만 김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의 은산분리 완화와 규제개혁 입장에 대해서는 적극 호응하면서, 8월 임시국회와 9월 정기국회에서 관련 법안 처리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원내대표는 “은산분리 완화 입장은 대통령으로서 상당히 잘한 판단”이라며 “과거의 입장 또는 지난 대선 공약에 함몰돼 있으면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또 “야당은 적극적으로 도울 준비가 돼 있고 일자리 절벽을 해결하려면 과감한 규제개혁은 필수고 잘하신 결정”이라며 “과거 더불어민주당이 어떻게 했다고 시비 걸지 않겠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했다.

아울러 “남북정상회담에 있어서 진정한 평화는 핵 없는 평화지 핵 있는 평화는 성립이 안 된다”며 “야당은 정상회담을 결코 반대 안 한다. 그러나 지난 2차례 남북정상회담으로 분위기는 좋아진 듯한 데 비핵화에 대한 실제 진전이 없다는 게 국민 걱정이고 국제사회 평가, 전문가 분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3차 남북정상회담은 비핵화 진전 없이 조급증으로 가져서는 안 된다”며 “비핵화 의제에 대한 확고한 대통령 의지를 가져야 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날 회동에서도 문 대통령은 4.27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에 대한 국회 비준을 희망했지만, 한국당은 “한반도의 실질적 비핵화 진전이 이뤄지고 그 내용에 대한 국제사회와 교감·공감이 이뤄져야 한다”며 시기상조를 이유로 사실상 거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