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정태호 "최저임금정책, 소득주도성장의 강력한 수단…정책의지 강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정태호 대통령 일자리수석이 14일 청와대 인근 한 카페에서 아시아경제 등 9개 주요 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부애리 기자] 정태호 대통령 일자리수석은 14일 “최저임금 정책은 우리정부의 강력한 소득주도정책의 한 수단”이라며 “여전히 정책의지는 강하다”고 밝혔다.

정 수석은 이날 오전 청와대 인근 카페에서 아시아경제 등 9개 주요 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최저임금 1만원 달성을 강한 의지로 추진해 나가되 우리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면서 속도 조절론이 제기되고 있지만 정책기조는 계속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그러면서 “저임금 근로자 가계 소득을 올려줘야 결국 전체 소비가 늘어날 수 있다”며 “최저임금은 궁극적으로 보면 우리 경제를 살리는 하나의 정책수단으로 보면 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최저임금 1만원 달성 시점에 대해서는 “자영업자 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격앙돼 있는 시점에서 그 부분을 얘기하는 건 시기적으로 적절치 않은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문 대통령 임기 내(2022년) 달성이라고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기존 최저임금 인상률이 평균 7.4%”라며 “기존의 평균적 수준으로 가면 임기 내에 자동으로 달성된다”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에 조금만 가속 페달을 밟으면 2021년 달성도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 수석은 대기업과 관련해 “대기업을 만나면 우리가 요구하지 않는 게 불안한 것 같다”며 “과거 정부는 ‘뭐해라, 뭐해라’ 요구했는데 우리 정부는 그게 없으니까 오히려 좀 불안해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게 정상적인 상황으로 가는 과정에서 일종의 금단현상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정 수석은 민간 일자리 확대를 위해 대기업 관계자들을 만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대기업을 만날 때 저는 ‘듣는다. 해결한다. 요구하진 않는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재벌개혁은 당연히 해나가야 할 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정 수석은 “공정경제 관점에서 재벌개혁은 해야 한다”며 “재벌 기업들도 이제 당연히 수용하는 단계까지 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런 점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재벌들을 만나 적극적으로 기업활동을 하게 하는 것은 당연한 활동이라고 본다”며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