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與野, 광복절 맞아 순국선열 애도 속 '건국일 논란' 팽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여야 대표들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경축사를 하는 도중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 바른미래당 김동철 비대위원장,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야는 15일 제 73주년 광복절을 맞아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에 일제히 애도와 존경의 뜻을 표하면서도 건국일 시점에 대해서는 치열한 공방을 펼쳤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1948년 8월 15일을 정부수립일로 봐야한다는 보수진영 주장에 대해 "해묵은 이념논쟁"이라고 비판했으며, 자유한국당은 1948년 건국일을 부인하는 것이 "대한민국 정통성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맞서고 있다.

반면 소수야당들은 거대양당들의 건국일 논쟁에서 한발 물러서서 소모적인 논쟁보다는 광복절 의미를 되새기며 한반도 평화체제에 힘을 모을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 논평에서 "사상 최초의 북미정상회담을 비롯해 문재인정부에서만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목도하는 등 오늘의 광복절은 작년과 또 다른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분열의 정치, 정쟁만 일삼는 비생산적 정치가 여전히 기승부리고 있다. 한국당은 '48년 건국론'을 들먹이며 해묵은 이념논쟁을 시도하고 있다"며 "광복절을 갈등의 장으로 만들어 보수 세력의 결집을 꾀하는 것은 아닌지 심히 유감스럽다"고 비판했다.

반면 한국당은 '1948년 건국론'을 강조했다.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서면 논평을 통해 "문 대통령은 '1919년 건국일'을 언급하며, 별도의 대통령 메시지 없이 '정부수립 70주년 기념행사'는 축소 개최할 계획"이라며 "문재인정부의 역사관이 염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어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이라는 사실(史實)마저 부정하는 문재인정부의 역사 인식과 의도가 무엇인가"라며 "또다시 국론 분열을 부추기며 국제적 승인을 받은 한반도 유일한 합법정부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정부 스스로가 부정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머지 소수야당들은 건국일 논란에서 빗겨나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기면서도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해 머리를 맞댈 시기임을 강조했다.

김철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진보든 보수든 건국절을 둘러싼 소모적인 논쟁을 집어치워라"면서 "건국 기념일을 제정하지 않고 기존의 '개천절'과 '광복절'을 기념하면 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영국·프랑스·독일·오스트리아·일본 등과 같이 유구한 역사를 가진 나라들은 건국절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용주 민주평화당 원내대변인은 "한반도 평화와 지속적인 번영이 순국선열이 고대하던 해방된 조국의 모습이라는 광복절의 참된 의미를 잊지 말고 되새기자"며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이 성사될 수 있도록 한마음 한뜻으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종전을 통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으로 진정한 광복의 정신이 완성을 이루길 바란다"고 밝혔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