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여야, 광복절 맞아 순국선열 희생에 감사…건국일 두고선 갈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여야 지도부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 바른미래당 김동철 비대위원장,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임유진 기자 = 여야는 15일 73주년 광복절을 맞아 순국선열의 희생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러나 건국일 시점을 두고 자유한국당은 1948년 건국론을 주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이념논쟁이라고 맞서며 갈등을 노출했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사상 최초의 북미정상회담을 비롯해 문재인정부에서만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목도하는 등 오늘의 광복절은 작년과 또 다른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 대변인은 “분열의 정치, 정쟁만 일삼는 비생산적 정치가 여전히 기승부리고 있고, 한국당은 ‘48년 건국론’을 들먹이며 해묵은 이념논쟁을 시도하고 있다”며 “광복절을 갈등의 장으로 만들어 보수 세력의 결집을 꾀하는 것은 아닌지 심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이라는 사실(史實)마저 부정하는 문재인정부의 역사 인식과 의도가 무엇인가”라며 “또다시 국론 분열을 부추기며 국제적 승인을 받은 한반도 유일한 합법정부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정부 스스로가 부정한 것”이라고 각을 세웠다.

다른 당들은 광복절의 의미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용주 민주평화당 원내대변인 “한반도 평화와 지속적인 번영이 순국선열이 고대하던 해방된 조국의 모습이라는 광복절의 참된 의미를 잊지 말고 되새기고,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이 성사될 수 있도록 한마음 한뜻으로 임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종전을 통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으로 진정한 광복의 정신이 완성을 이루길 바란다”며 “아울러 국민의 합의 없는 한일 위안부 합의와 일본의 끊임없는 역사 왜곡 시도 등에 맞서 역사를 바로잡는 일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