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해묵은 이념 논쟁" vs "文정부 역사관 염려"…73주년 광복절에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與 "보수 세력 결집 꾀하려는 것 아닌지 유감"

한국 "文정부,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국 사실마저 부정"

뉴스1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연합합창단이 태극기를 흔들며 광복절 노래를 제창하고 있다. 2018.8.15/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이후민 기자,정상훈 기자,이형진 기자 = 제73주년 광복절을 맞은 15일 여야는 한목소리로 순국선열들의 조국을 위한 헌신과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면서도 건국절 논란을 재점화했다.

진보·보수진영은 해마다 광복절 즈음 '건국절 논란'으로 공방을 벌였다. 진보진영은 대한민국의 건국 시점을 상해 임시정부 수립일인 1919년 4월13일로 봐야한다는 입장이며 반대로 보수진영은 이승만 정부가 출범한 1948년 8월15일을 건국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면브리핑에서 "더 이상 갈등과 반목이 아닌 화합과 상생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며 "그러나 우리 정치는 여전히 분열의 정치, 정쟁만 일삼는 비생산적 정치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백 대변인은 이어 한국당을 향해 "해묵은 이념 논쟁을 시도하고 있는데 광복절을 갈등의 장으로 만들어 보수 세력의 결집을 꾀하려는 것은 아닌지 심히 유감스럽다"며 "한국당이 생각하는 헌법정신과 역사는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백 대변인은 "현재 대한민국은 매우 중요한 기로에 놓여있기에 국익과 국가의 미래를 위해 백해무익한 논쟁이 아닌 생산적인 비판과 발전적인 협력을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반면, 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문재인 정부의 역사관이 염려스럽다"며 "건국 과정의 엄연한 역사를 애써 외면하고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국'이라는 사실(史實)마저 부정하는 문재인 정부의 역사 인식과 의도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애국선열이 피와 목숨으로 지킨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가치를 퇴색시켜서는 결코 안 된다"고 밝혔다.

윤 수석대변인은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정부 스스로 부정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일 뿐"이라며 "일제의 강점과 광복이라는 민족의 역사적 아픔마저 국론분열과 이념논쟁으로 이끌고 정치적으로 활용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도 했다.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겨 남북이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성사를 위해 한 마음 한 뜻으로 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대한민국은 분단을 딛고 통일로 나아가야 하며 평화와 번영의 세계를 선도해 가야 한다"며 "북한의 비핵화는 절체절명의 과제로서 우리 앞에 놓여 있기에 온 국민의 뜻과 지혜를 모아 난국을 헤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평화는 이상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고 결연한 안보 의지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북핵문제 해결과 남북통일의 민족사적 과제를 가장 중심에 서서 이뤄가겠다"고 밝혔다.

이용주 민주평화당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남북을 향해 "한반도 평화와 지속적인 번영이 순국선열이 그토록 고대하던 해방된 조국의 모습이라는 광복절의 참된 의미를 잊지 말고 되새겨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이 성사될 수 있도록 한 마음 한 뜻으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 역시 브리핑에서 "종전을 통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으로 진정한 광복 정신의 완성을 이루게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goodda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