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올 상반기 '연봉킹'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재용 무보수 경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고 월급쟁이' 삼성전자 권오현 회장 50억 넘어

'물벼락 갑질'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 17억 수령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올해 상반기 주요 기업 오너·임직원 중 가장 많은 급여를 받은 사람은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인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금융감독원 반기보고서를 종합한 결과 조 회장은 올해 상반기 4개 계열사에서 58억2720만원을 수령했다.

대한항공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조 회장은 상반기 20억766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그 밖에 등기임원으로 재직 중인 한진칼(16억2540만원), 한진(6억7425만원)과 미등기 상근 회장으로 재직 중인 한국공항(14억5095만원)으로부터도 급여를 받았다.

‘물벼락 갑질’로 물의를 일으켰던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 겸 진에어 부사장은 상반기 대한항공과 진에어로부터 퇴직금을 포함해 총 17억4284만원을 보수로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항공은 총 8억6884만원, 진에어는 8억7400만원을 조 전 전무에게 지급했다.

세부적으로 대한항공은 △급여 1억6918만원 △상여 3339만원 △기타 근로소득 506만원 △퇴직금 6억6121만원 등 총 8억6884만원을, 진에어는 △급여 1억7300만원 △상여 2000만원 △기타 근로소득 5000만원 △퇴직금 6억3100만원 등 총 8억7400만원을 보수로 지출했다. 퇴직금만 약 13억원에 달하는 셈이다.

대한항공은 퇴직금과 관련해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에 따라 퇴임 당시 월평균 보수, 직위별 지급률 및 근무 기간 7.5년을 고려해 지급했다”고 설명했다.진에어도 “근무기간을 6.5년으로 잡았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룹 총수 중 무보수 경영에 이재용·김승연 회장

오너 중에선 급여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6년 9월 등기 임원이 됐지만, 작년 2월 국정 농단 사건으로 구속된 이후로는 급여를 안 받는다. 한화 김승연 회장도 회사로부터 받는 돈은 없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고(故) 구본무 전 ㈜LG 대표이사 회장, 허창수 GS그룹 회장 등도 50억원 안팎의 보수를 수령했다.

정몽구 회장의 경우 상반기 현대차로부터 28억3600만원, 현대모비스로부터 21억2700만원 등 모두 49억63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올해 상반기 현대차로부터 8억3천900만원을 수령했다.

또 고 구본무 전 회장은 급여 13억6800만원, 상여 40억6000만원 등 총 54억2800만원을 받았다.

허창수 회장의 경우 지주회사인 GS로부터 급여 11억6500만원·상여 28억8300만원 등 40억4800만원을, GS건설로부터 12억2600만원을 각각 받아 총보수가 52억7400만원으로 집계됐다.

또 주요 대기업그룹 총수 가운데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경우 올해 상반기 보수로 ㈜SK와 SK하이닉스로부터 각각 20억원을 받았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고 월급쟁이’ 권오현 삼성전자 회장

주요 그룹 전문경영인의 보수도 함께 공개됐다.

전문경영인 중에서는 권오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이 50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으며 ‘최고 월급쟁이’의 자리를 지켰다. 권 회장은 올해 상반기 총 51억7100만원의 보수를 받아, 웬만한 재벌 총수 일가 수준의 급여를 수령했다. 급여로 6억2500만원을 받았고, 성과 인센티브와 목표 인센티브 등을 포함한 상여금으로 45억3500만원을 받았다.

또 삼성전자의 윤부근 부회장(26억6100만원), 신종균 부회장(26억3800만원), 이상훈 이사회 의장(22억2800만원) 등은 20억원대의 보수를 올 상반기에 받았다.

올 초 각 사업부문장 겸 대표이사에 선임된 김기남·김현석·고동진 사장은 각각 13억5300만원, 10억원, 11억600만원을 받았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 호황으로 올해 사상 최고 성적표를 받은 SK하이닉스의 박성욱 대표이사 부회장도 30억원에 가까운 보수를 받아 눈길을 끌었다. 박 부회장은 상반기에 급여 5억7500만원, 상여금 23억5000만원, 기타 근로소득 500만원 등 총 29억30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현대차는 윤갑한 전 사장에게 상반기 보수로 급여 2억6900만원과 퇴직금 23억5700만원을 더한 총 26억2600만원을 지급했다.

정진행 현대차 사장은 급여 6억200만원과 상여금 3억6600만원을 합해 모두 9억6800만원을 받았고, 김용환 부회장은 8억9300만원을 수령했다.

이형근 기아차 전 부회장은 급여 2100만원과 퇴직금 44억800만원 등 총 44억2900만원을 상반기 보수로 받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