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국제]구글, 위치 추적꺼도 사용자 위치 추적하고 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 사용자가 위치추척을 중단해도 구글은 계속해서 이들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고 AP통신과 씨넷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외신은 프린스턴대 컴퓨터공학팀 연구결과 안드로이드 기기와 아이폰에서 구글이 사용자 의사와 상관없이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부분의 구글 서비스는 위치 정보를 사용할때 이용자에게 동의를 구한다. 이용자가 동의하면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구글맵스는 타임라인을 통해 분단위 이동구간을 보여준다.

구글 이용자가 동의하지 않으면 구글은 이동내역을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공지했지만 거짓으로 드러났다. AP통신은 연구결과 위치기록을 중단해도 위치 정보와 상관없는 구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위치 자료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구글은 구글맵스를 단순히 열었을 때, 안드로이드폰의 자동 일기예보를 업데이트할 때도 사용자 위치를 저장한다. 조나단 메이어 프린스턴 컴퓨터 공학자는 “구글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끈다면 사용자 위치가 저장되지 않아야 하는데 연구결과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대다수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큰 논란이 예상된다. AP통신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용체계(OS)를 사용하는 20억명과 구글맵스나 검색을 이용한 수천만 아이폰 이용자가 이런 사생활 문제의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진단했다.

씨넷은 구글이 고객 위치 정보를 광고와 마케팅에 활용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메이어 프린스턴 컴퓨터 공학자는 사용자가 원치 않음에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잘못된 행태라고 지적했다.

구글은 불투명한 부분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구글은 “구글이 사용자 경험을 더 좋게 하려고 여러 다른 방식으로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며 “위치기록, 웹과 앱 활동'(Web and App Activity), 위치서비스(Location Services) 등이 해당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런 도구를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견고하게 통제해 사람들이 켜고 끄고 언제라도 기록을 지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