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사설] 오늘, 김학순 할머니의 그날을 기억하는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학순 할머니의 최초 증언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입니다.”

1991년 8월14일 고 김학순(1924~1997) 할머니의 공개회견은 반세기 가까이 가려졌던 위안부 문제를 한일 사회에 공론화시킨 계기였다. 90년 발족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의 활동과 윤정옥 대표의 <한겨레> 기고문 등이 그에 앞서 있었지만, 피해자들 파악은커녕 관련 문서도 찾기 어렵던 당시 그의 회견은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내가 증거다’라는 가장 강력한 웅변에 다름 아니었다. 무엇보다 한 사람의 용기는 ‘수치스러운 삶’ ‘순결 잃은 여자’라는 낙인이 강요한 침묵에 잠겨 있던 다른 김학순을 깨웠다. 238명의 다른 피해자들 목소리를 끌어냈을 뿐 아니라, 국내를 넘어 북한 필리핀 중국 인도네시아 네덜란드의 피해자에게까지 닿았다. 1992년부터 시작된 수요시위와 유엔의 결의 및 권고, 아시아연대회의와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여성국제법정 및 세계 각국 의회의 결의 채택까지, 그의 증언은 수많은 변화를 이끌어냈다.

2012년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로 그의 증언일은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이 됐다. 그동안 민간 행사로 치러졌던 이날이 올해 처음으로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14일 김학순 할머니 등이 묻힌 충남 천안 ‘망향의 동산’에서 정부 차원 기념식이 열린다. 최근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연구소’도 출범시켰다. 그동안 마땅히 국가가 함께 했어야 할 일들을 피해자와 민간에만 맡겨온 셈이라 마음이 무겁다.

이제 남은 피해자는 28명, 늦은 만큼 체계적인 기록물 발굴·조사와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여전히 일본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협정’을 명분으로 사죄와 배상을 거부하고 있다. 역사의 희생자에 머물지 않고 자신들의 인권 회복을 위해 스스로 나섰던 피해자들의 용기와 인권평화운동가로서의 활동을 오늘 기억하며, 정의와 평화의 실현을 다짐한다.

▶▶튀르키예 향한 하루 20톤 온정…배려도 동봉하면 어떨까요
▶▶한국 작가의 위로…“튀르키예는 평생 이 그림 잊지 못할 것”▶▶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