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정부, 플랫폼 경제 구축에 1조5000억원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유경제·AI·수소경제·혁신인재 양성 등 4대 핵심프로젝트에 5000억 투입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정부가 내년에 1조5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플랫폼 경제 구축에 나선다. 이를 위해 데이터 블록체인·공유경제, AI, 수소경제를 3대 전략투자로 선정하고 혁신인재 양성에도 힘을 쏟는다.

정부는 13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관계장관회의'를 개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혁신선장 전략투자 방향을 확정·발표했다.

정부가 이처럼 플랫폼 경제 구축에 앞장서는 이유는 투자규모, 리스크 측면에서 봤을 때 개별기업 차원에서 투자가 어려운 분야인데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임기근 혁신성장본부 선도사업2팀장은 "혁신성장을 주도하고 성과를 내는 것은 민간 영역이지만 민간과 함께 목표설정, 인프라 구축 등은 정부 고유 역할이고 해외국가들도 이런 작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투자의 시급성, △발전가능성, △플랫폼 인프라 등을 기준으로 전문가, 민관 연구기관, 대중소기업 및 관계부처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3+1 전략투자 분야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데이터 블록체인·공유경제, △AI, △수소경제, △혁신인재 양성 등에 1조5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정부는 2023년까지 이 분야에 9~10조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1조5000억원 가운데 5000억원은 4대 핵심 프로젝트에 투입한다. 정부는 4대 핵심프로젝트의 내년도 예산을 올해보다 4000억원 늘려 잡았다. 분야별로는 빅데이터·인공지능·블록체인 기반 구축에 1900억원을 쏟아 붓는다. 빅데이터 활성화, 신뢰성 제고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고도화, 공유경제 기반 구축을 위해서다.

데이터 디바이드 해소 공유경제 패키지에는 1300억원을 쓴다. 데이터 격차 해소 및 공유경제 패키지 지원에 주로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밸류체인별 연구개발(R&D) 실증(700억원) 및 생산거점 구축(200억원)에는 1000억원이 투입된다. 수소는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 생산-저장-이송-이용 등 단계별 수소 밸류체인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에 과기정통부, 산업부, 국토부 등 3개 부처의 내년도 예산에 15개 사업을 반영, 생산 및 저장 운송 기술 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2023년까지 친환경 수소 양산기술·설비 확보가 목표다. 또 2022년까지 수소열차 개발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수소선박, 인프라 타당성 조사 및 중장기 계획을 내년까지 수립키로 했다. 아울러 권역별 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이와 연계한 수소버스 기반 대중교통망도 조성키로 했다.

1만 혁신인재양성 및 혁신 교육프로그램 도입에는 9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AI·빅데이터·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 핵심분야에서 핵심인재 1만명을 신규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AI 등에서 500명의 인재를 선발해 해외 유명 연구소 기업과 공동 프로젝트, 인턴십 실무과정을 실시하고 일반·전문대학원에 AI학과도 신설한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