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BMW ‘EGR 소프트웨어 조작’ 의혹, 국내 실험으로 가려질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MW 차량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 모듈의 소프트웨어를 조작해 과도하게 작동됐는지 가리는 실험을 정부가 진행키로 했다. 여당은 이번 화재사고와 관련한 징벌적 손해배상 강화와 과징금 부과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13일 자동차업계와 정부 당국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BMW 화재 원인과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확인키로 하고, 소프트웨어 조작 의혹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국토부는 전문가 등을 초빙해 개최한 민관 조사단 회의에서는 복수의 전문가들이 BMW 차량 엔진 소프트웨어 조작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이를 가리기 위한 실험 방안을 제시했다.

BMW 측은 EGR 부품의 냉각수가 새면서 뜨거운 배기가스를 식히지 못해 불이 났다고 설명해왔다. 그러나 다수 전문가들은 플라스틱 부품이나 소프트웨어 조작 문제 등 다른 요인을 함께 봐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디젤차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을 엔진으로 다시 들여보내 태워서 없애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EGR에서 냉각된 배기가스는 흡기다기관을 통해 엔진으로 들어가는 구조다. BMW 차량 다수에서 흡기다기관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 가운데는 이 흡기다기관이 플라스틱으로 돼 열에 취약해서 불이 난다고 지적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EGR 자체 크기가 작거나, 냉각수 밸브 이상으로 600~800도 고온의 배기가스가 제대로 식혀지지 못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일각에서는 이런 하드웨어 결함과 별개로 BMW가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 맞추기 위해 실제 처리 능력보다 과도하게 작동토록 전자제어장치(ECU)의 소프트웨어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BMW 차량의 EGR 부품에 큰 문제가 없는데 그 용량을 초과해 배기가스를 줄이도록 소프트웨어가 설정돼 불이 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민관조사단은 긴급 안전진단을 받은 차량과 아닌 차량, 리콜 대상과 아닌 차량 등 다양한 차량 샘플을 확보해 배기가스 배출량을 확인, 당국에 신고된 수치와 편차가 생기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또한 BMW가 주요 화재사고 모델인 520d 설계를 2년 전 변경한 과정도 확인 대상이다.

BMW는 2016년 11월 이후 생산된 520d 모델에 개량된 밸브를 탑재하고 라디에이터 면적을 넓힌 바 있다. 즉 이전 모델의 EGR 크기가 너무 작았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는 BMW가 EGR 관련 부품 결함을 알면서도 리콜 같은 조치를 하지 않고 슬그머니 설계 변경했을 개연성이 있어서다. 지난 12일 오후 10시5분쯤에도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에서 광주 방향으로 달리던 BMW 520d에서 또 불이 났다. BMW 차량은 올해 들어 이날까지 38대 화재사고가 났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잇따른 ‘BMW 화재사고’와 관련해 징벌적 손해배상 강화, 과징금 부과 근거 마련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13일 국회에서 국토교통부, BMW코리아 관계자들과 BMW 화재사고 긴급간담회를 열었다. 간사인 윤관석 의원은 간담회 후 “국토위 민주당 의원들은 징벌적 손해배상 강화·리콜 제도 개선, 대규모 과징금 부과 근거 신설, 자동차 제작결함을 확인하는 분석 체제 개선에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모두발언을 통해 “제조사가 고의적이고 악의적으로 차량결함에 대한 조치를 안 해 소비자에게 피해를 끼쳤을 경우 징벌적 손해배상을 포함해 과징금을 부과하고 운행 중단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효준 회장은 간담회에서 “연이은 화재사고에 대해 심려를 끼쳐드려 정말 깊은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고 말했다.

<전병역 기자 junby@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