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백범 휘호 ‘광명정대’ 귀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거 석달 전 동지 후손에 전달

미 이민 후손 임정기념관 기증

경향신문

백범(白凡) 김구(1876~1949)가 서거 3개월 전 독립운동 동지의 후손에게 써준 글씨가 고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13일 “독립운동가 김형진(1861~1898) 후손인 재미교포 김태식씨(83)에게 백범 친필 ‘광명정대(光明正大)’를 기증받아 지난 5일 산하 국립고궁박물관에 인도했다”고 밝혔다.

백범과 김용식은 1895년 무력으로 일제를 격퇴해야 한다는 마음에 군사를 요청하러 중국 선양(瀋陽)에 동행했고, 이듬해에는 의병에 함께 가담했다. 그러나 김용식은 1898년 동학 접주(接主·동학 교단 조직인 접의 책임자)로 활동하다 체포돼 고문 끝에 숨을 거뒀다.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김형진 사후 유족과 계속 연락하던 김구는 안중근 의사 순국 39주년인 1949년 3월26일 ‘광명정대’ 친필을 김형진의 손자인 김용식에게 선물했다. 김용식은 1960년대에 이를 6촌 동생인 김태식씨에게 전달했고 김태식씨는 1973년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면서 가지고 갔다.

‘광명정대’는 언행(言行)이 떳떳하고 정당하다는 의미로, 글씨 옆에는 선물 받은 사람의 이름인 ‘김용식’과 작성 일자가 있다. 또 ‘김구지인(金九之印)’과 ‘백범’ 인장이 찍혔다. 크기는 세로 110㎝, 가로 40㎝다. 글씨를 조사한 전문가들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백범 휘호로 희소성이 있고, 필체에서 기백이 느껴지는 작품”이라 평했다고 문화재청은 전했다.

김태식씨는 지난 4월 주시애틀 한국영사관을 통해 2021년 개관하는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보관해 달라는 요청과 함께 백범친필 기증 의사를 밝혔다. 문화재청은 ‘광명정대’를 기증받아 관리하다 기념관이 개관하면 전달하기로 했다.

김구 관련 유물 중에는 유묵 ‘한미친선평등호조(韓美親善平等互助)’ ‘신기독(愼其獨)’ ‘사무사(思無邪)’와 서명문 태극기, 인장, 혈의(血衣)가 문화재로 등록됐다.

<홍진수 기자 soo43@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