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호 북한 외무상이 4일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기념촬영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오른쪽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RF는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역내 다자 안보 협의체다. 남북, 북ㆍ미가 자연스럽게 조우하며 타협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는 자리다. 이 외무상은 이 자리에서 “(싱가포르 북ㆍ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의 모든 조항들을 균형적으로, 동시적으로, 단계적으로 이행해 나가는 새로운 방식만이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하게 현실적인 방도”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미군 유해를 송환했으니 미국도 이에 걸맞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조치에 나서라는 이른바 ‘동시적ㆍ단계적 접근법’이다.
이 외무상은 이날 “미국에서는 조선반도 평화 보장의 초보의 초보적 조치인 종전선언 문제에서까지 후퇴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종전선언을 직접 거론했다. 이 외무상은 전날인 3일 만찬 행사 때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조우했을 때도 종전선언을 언급했다. 강 장관은 5일 브리핑에서 “(이 외무상과) 종전선언에 대해서도 의견 교환이 있었다.(이 외무상의) 공개 발언을 보시면 내용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와 관련 연내 종전선언에 대해 “계속 협의를 하고 있으며, 이번에 미국ㆍ중국과도 상당한 협의가 있었다”고 소개했다. 강 장관은 다음달 말 열리는 유엔총회가 종전선언 기회가 될지에 대해 “유엔총회를 중요한 계기로 본다”면서도 “총회를 넘어 다른 중요한 계기들이 있다. 그 전후로 해서 상황에 맞춰 종전선언을 연내에 이루겠다는 목표를 우리가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고, 주요 협의 대상국도 이를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 외무상 연설에 앞선 4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비핵화한 북한’이라는 목표를 손상하는 어떤 위반도 미국은 심각하게 받아들일 것”이라고 국제 사회에 경고장을 냈다. 대북 제재 전선에서 이탈하지 말라는 얘기다. 이 외무상의 연설 때 폼페이오 장관은 다른 양자회담 일정 때문인지 자리를 비운 상태였다고 한다.
단 북ㆍ미는 대화의 동력을 이어간다는 제스쳐를 교환했다. 4일 ARF 회의장에서 폼페이오 장관이 먼저 이 외무상에게 다가가 어깨를 두드리고 악수를 청하자 이 외무상도 웃으며 반기는 모습을 노출했다. 성김 주필리핀 미국대사는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내는 친서를 이 외무상에게 전달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5일 싱가포르의 한 호텔에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결산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이 외무상은 ARF에서 11개국과 양자회담을 하면서도 강경화 장관, 폼페이오 장관과의 공식 회담은 거부했다. 강 장관이 이 외무상을 3일 만찬장에서 만났을 때 이 외무상은 “(북한은) 기본적으로 외교당국이 나설 때가 아니라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는 남북 외교장관 회담을 거절한 이유에 대한 답변이었다. 북한에서 그간 핵협상을 담당해온 것은 외무성이다. 이 외무상이 지금은 외교당국이 나설 때가 아니라고 한 것은 북한이 아직 비핵화 협상을 본궤도에 올릴 뜻이 없다는 의미로 읽힌다. 싱가포르=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