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김포한강 삼정그린코아' 신도시생활권 미분양아파트 모델하우스, 마곡지구 대체주거지로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넷뉴스팀]
문화뉴스

김포시 양곡택지개발지구에 공급되는 '김포한강 삼정그린코아 더 베스트'가 양촌행정복지센터 등 행정기관, 관공서가 인접해 젊은 부부부터 고령의 어르신들까지 전 세대의 수요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으며, 김포삼정그린코아 모델하우스에 발걸음이 계속되고 있다.


한강신도시 생활권인 김포삼정그린코아는 김포시에서 20평형대 일반분양아파트로 52㎡(구21평)·59㎡(24평)·78㎡(구30평) 공급되며, 일반분양아파트로 합리적인 분양가가 책정됐다. 이번 분양에서는 계약자에 한해 계약금 2회 분할로 1차 500만원 정액제 계약체결, 중도금 무이자(78㎡) 등 다양한 특별분양혜택이 제공된다.


현재 회사보유분 52㎡·59㎡·78㎡의 선착순 동·호수 지정계약을 진행 중인 김포한강 삼정그린코아는 대형 쇼핑시설인 이마트트레이더스와 롯데마트 등이 인접해 있어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다. 더불어 CGV, 메가박스(예정) 등의 다양한 문화시설과 의료시설이 자리하고 있다.


단지 인근으로는 축구장의 약 8배 크기에 달하는 대규모 생태공원이 조성돼 있으며 구릉지, 수림대, 근린공원 등 녹지환경도 풍부해 도심 속에서도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다.


여기에 양촌 구도심, 김포 중심상업지역인 구래역 생활권을 가까이 누릴 수 있고, 이마트 등 대형마트가 위치해 있는 양곡택지 중심상업지역도 가깝다. 양촌읍 행정복지센터, 노인복지회관 등의 행정기관도 인접해 있기 때문에 전 세대를 아우르는 수요자들을 포용할 수 있다.


사업지 아파트 인근으로는 도보 통학거리에 양곡초, 중, 고가 인접한 학세권이 조성돼 편리하고 안전을 신뢰할 수 있는 등, 하교가 가능해진다. 인근에 근린공원, 어린이 공원 등이 있어 20~30대 젊은 부부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서비스 면적을 극대화해 한층 넓은 실사용 면적을 제공하는 김포한강 삼정그린코아 더 베스트는 신개념 특화설계인 양면개방형 LDK를 주방, 식당, 거실의 일부 가구에 적용했다. 팬트리와 알파룸을 제공해 수납공간도 강화했다. 4베이 맞통풍 구조와 판상형 설계를 일부 가구에 적용해 채광과 환기가 원활하다.


이 외에도 인접 지역 진·출입이 편리한 김포한강로, 제2서울외곽순환도로 등이 사업지 인근으로 구축되어 있다. 김포한강로 이용 시 마곡지구 등 강서권은 20분대, 여의도 20분대, 강남 40분대, 송도20분대 등으로 접근할 수 있어 직장인들의 출퇴근 편의성도 향상된다.


김포시(김포한강신도시)는 내년 7월 김포도시철도가 개통예정으로 다양한 주거환경 개선 사업과 도로교통 여건 개선 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도심 접근성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를 입증하듯 최근 김포시 유입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다 보니 김포시 분양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114 자료를 보면 김포시 3.3㎡당 분양가는 2015년 1066만원, 2016년 1086만원, 2017년 1168만원, 2018년 1189만원으로 계속해서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이에 김포 5호선 연장(예정), 김포 북부권 종합발전계획 완성(예정)등 권역별 균형발전으로 살고 싶은 김포 만들기가 추진 중이다.


김포한강 삼정그린코아 모델하우스 관계자는 "사업지는 내년 7월개통 예정인 김포도시철도 구래역 역세권에 위치해 있으며, 단지 인근으로 풍부한 교통 여건과 생활 인프라가 조성돼 있어 지속적인 인구유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풍부한 배후수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사전예약 후 모델하우스를 방문하면 홍보관 내 모델하우스 유니트 관람이 가능하며, 방문예약 특별혜택 사은품을 증정한다. 현재 주택홍보관 개관 중이므로, 대표번호를 통해 모델하우스 방문 예약 시 일반분양가 및 모델하우스홍보관 위치, 무료주차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인터넷뉴스팀(news@gomh.kr)


<저작권자 Copyright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