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우리말 바루기] 불볕더위와 무더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후텁지근하고 푹푹 찌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 또한 올라가는 날씨다. 인터넷 등에서는 “불볕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등처럼 ‘불볕더위’라는 표현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불볕더위’가 적절한 표현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불볕더위’는 햇볕이 몹시 뜨겁게 내리쬘 때의 더위를 뜻한다. 즉 습도는 낮지만 태양이 작열하는 날씨의 더위를 가리킨다. “연일 30도를 넘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려 모든 것의 수분을 말리고 있다”와 같이 쓰인다. 사막의 뜨거운 태양 아래 더위를 생각하면 된다. 비슷한 표현으로 ‘불더위’가 있다.

메마른 더위를 가리키는 낱말로는 ‘강더위’도 있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고 볕만 내리쬐는 심한 더위를 나타낼 때 쓴다.

그렇다면 요즘처럼 습도가 높아 끈적끈적하고 불쾌감을 주는 더위를 무엇이라고 해야 할까? ‘무더위’다. 습도와 온도가 매우 높아 찌는 듯 견디기 어려운 더위를 ‘무더위’라고 한다. ‘물+더위’가 ‘무더위’로 변화했다. ‘물더위’에서 ‘ㄹ’이 탈락해 ‘무더위’가 됐다. “장마가 끝나자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다” “무더위에는 제습기를 틀어도 도움이 된다”처럼 쓰인다.

습하고 더운 날씨를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찜통더위’도 있다. 뜨거운 김을 쐬는 것같이 무더운 여름철의 기운을 가리킬 때 ‘찜통더위’라고 한다. 비슷한 말로는 ‘가마솥더위’가 있다. 가마솥을 달굴 때의 아주 뜨거운 기운처럼 몹시 더운 날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은 어휘가 다양해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더위를 나타내는 말도 이처럼 다양하다. 요즘처럼 고온다습한 날씨에는 ‘불볕더위’ ‘불더위’ 등보다 ‘무더위’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무더위’가 심해지면 ‘찜통더위’ ‘가마솥더위’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

김현정 기자 nomadicwriter@naver.com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