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8 (월)

케이뱅크, 유상증자 '코앞'으로 다가왔지만…웃을 수 없는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케이뱅크가 7월 12일 유상증자 진행으로 자본 확충을 할 수 있게 됐지만, 은산분리 벽으로 인해 고민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월 출범 1주년 기자간담회 당시 심성훈 케이뱅크 행장 모습. /남윤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산분리 벽' 케이뱅크, 되풀이되는 '자본금 문제'

[더팩트ㅣ서민지 기자] 케이뱅크가 유상증자를 대금 납입을 3주 정도 남겨두고 있지만, 웃을 수만은 없는 상태다. 자본금 한계로 기존 상품 판매는 물론 신사업 진출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다양한 고민에 직면하고 있다. 실권주 발생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15일부터 '직장인K 마이너스 통장'과 '직장인K 신용대출' 판매를 중단했다. 기존 상품 이용자에게는 한도증액과 기간연장 등이 가능하지만, 신규 유입을 막은 것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판매를 일시 중단한 것일 뿐 다음 달 1일부터 재개할 예정"이라며 "금리를 올리거나 고객을 제한하는 것보다 오히려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한 차원이다"라고 말했다.

케이뱅크의 1분기 기준 BIS 총자본비율은 13.48%다. 국내 은행의 평균 15.34%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사실상 자본금의 한계에 부딪힌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케이뱅크는 지난해 7월에도 '직장인K 신용대출'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해당 상품은 당시 케이뱅크 여신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주력 상품이었지만, 예대율이 90%에 달하자 출범 3개월 만에 판매를 일시 중단했다.

인터넷은행이 태생적으로 갖고 있는 '은산분리'의 한계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은산분리는 산업자본이 의결권 있는 은행 지분을 최대 10%(의결권 4%)만 보유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다. 이 때문에 인터넷은행은 자본금을 적극적으로 불릴 수 없는 상황이다.



더팩트

케이뱅크는 지난 15일부터 '직장인K 마이너스 통장'과 '직장인K 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서민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케이뱅크는 당장 다음 달 15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앞두고 있다. 지난달 케이뱅크는 이사회를 열고 보통주 2400만 주, 전환주 600만 주 등 총 3000만 주의 신주 발행을 결의했다. 오는 7월 12일로 예정된 주금 납입일에 증자가 최종 확정되면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5000억 원으로 불어나게 된다.

유상증자를 완료하면 당장의 급한 불은 끌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증자 후 또다시 자본금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되풀이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신규 사업을 추진할 동력도 약해질 수밖에 없다.

실제 케이뱅크는 지난 4월 '출범 1주년' 기자회견 당시 3분기 중으로 비대면 아파트 담보 대출을 출시하겠다고 밝혔지만, 출시 시점이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외에도 앱 기반 간편결제, 기업 수신 상품 등을 선보일 예정이었지만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실권주가 발생할 가능성도 나온다. 현재 케이뱅크의 주주사는 20곳으로 주요 주주사인 KT, 우리은행, NH투자증권, 한화생명, GS리테일, KG이니시스, 다날 외에는 투자 여력이 충분하지 않다. 실제 지난해 9월 1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했을 때도 주주사 19곳 중 7개사가 불참 의사를 밝히면서 100억 원의 실권주가 발생했다. 당시 새 주주사인 부동산투자회사 MDM의 투자로 증자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당장은 유상증자로 한시름 덜 수 있지만, 향후 또다시 자본 확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은산분리 규제가 완화되지 않으면 같은 문제는 계속해서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케이뱅크 관계자는 "주주사로 중소형사가 많은 만큼 실권주가 나올 가능성이 없다고 할 수 없다. 신규 주주사 유입 등도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은산분리 벽으로 인해 다양한 시행착오가 있지만 신생기업이 자리 잡는 과정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jisseo@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