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검경 수사권 조정안 발표 경찰, 모든 사건 1차 수사·종결권 검찰 수사지휘권 64년 만에 폐지 검찰엔 지휘 대신 보완수사 요구권 이낙연 “검경 대등협력 관계로”
이낙연 국무총리는 21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문을 대국민 담화 형식으로 발표했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도 참석해 수사권 조정 합의문에 각자 서명했다. 담화에서 이 총리는 “검경 관계를 대등협력적 관계로 개선해 권한을 분산하고 상호 견제하게 하는 내용으로 수사권 조정 논의의 오랜 역사에서 처음 이뤄진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검찰이 수사권·기소권을 모두 갖게 한 1954년 형사소송법 제정 이래 64년 만이다.
■
「검경 수사권 조정안 주요 내용
● 검사의 수사지휘권 64년 만에 폐지
● 경찰에 1차적 수사권과 수사종결권 부여
● 헌법에 규정된 검찰의 영장청구권은 유지
강제수사 영장 지체 없이 청구해야
● 검찰의 직접 수사는 특수사건으로 제한
」● 경찰에 1차적 수사권과 수사종결권 부여
● 헌법에 규정된 검찰의 영장청구권은 유지
● 검찰은 검사·검찰직원에 대해 경찰이 신청한
강제수사 영장 지체 없이 청구해야
● 검찰의 직접 수사는 특수사건으로 제한
검사의 수사지휘권 폐지는 입법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하지만 검찰은 사건을 송치받은 후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경찰에 보완 수사를 요구할 수 있고 정당한 이유 없이 따르지 않으면 징계를 요청할 수 있다. 검사의 비위에 대한 경찰의 수사 권한도 강화했다. 조정안은 검사 또는 검찰청 직원의 범죄혐의에 대해 경찰이 적법한 압수·수색·체포·구속 영장을 신청한 경우 검찰은 지체 없이 법원에 영장을 청구하도록 했다.
헌법(제12조 3항)에 규정된 검찰의 영장청구권은 일단 유지됐다. 법조계에선 경찰의 권한이 커졌지만 검찰로서도 ‘선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안이 나왔지만 입법권을 가진 국회로 공이 넘어갔다는 점에서 수사권 조정안 확정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서정욱 변호사는 “검찰과 대등한 지위를 갖게 됐다는 점에서 경찰은 명분을 얻었지만 검찰로서도 예상만큼 많은 것을 잃은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하반기 정부 입법으로 발표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립 문제도 변수다. 이번 조정안에서 검찰의 직접수사 범위를 부패범죄·경제범죄·선거범죄 등으로 제한했지만 기존에 검찰이 주로 하던 특별수사가 대부분 포함됐다. 공수처가 출범하면 검찰의 직접수사 범위는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헌법 개정 이슈도 수사권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의 정부 개헌안에는 영장청구권을 삭제하는 내용이 들어 있었으나 지난달 폐기됐다. 법무부 관계자는 “형소법 개정 절차 전에라도 대통령령 등을 개정해 경찰의 권한을 보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동현·김영민 기자 offramp@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