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원전 줄이면서 전공자 채용 확대 … 앞뒤 안 맞는 후속대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수원, 원자력 전공 13%서 30%로 “학생 씨가 말랐는데 … 불만 무마용”

정부가 탈(脫)원전 정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자력 전공자 신규 채용 비중을 올해 13% 수준에서 30%(향후 5년 평균)로 확대하기로 했다. 하지만 신규 원전 건설을 취소하고 기존 원전을 폐쇄하면서 전공자 채용 비율을 높인다는 것이라 오락가락 대책이란 지적도 나온다. 전공자 채용 비율 확대는 21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조정점검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보고한 ‘에너지전환(원전) 후속 조치 및 보완대책’ 내용 중 하나다. ‘신규 원전 건설 중단에 따라 원전 산업 경쟁력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본지 6월 18일자 1면)’는 지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은 대졸 사원을 연평균(최근 5년) 180명 뽑았고 이 중 25명 정도가 원자력 전공자였다. 한수원은 원전 건설보다는 해체나 안전 쪽 인력을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탈원전 선언으로 원자력을 전공하겠다는 학생이 씨가 마른 상황에서 당장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땜질 처방”이라며 “원전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최소한의 원전을 지으면서 탈원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점검회의에서 신규 원전 4기 건설 계획 철회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를 재확인했다. 우선 경북 영덕 천지 1·2호기와 강원 삼척 신규 원전 1·2호기 등 원전 4기는 건설 취소가 최종적으로 확정됐다. 백지화된 신규 원전 4기에 들어간 비용은 현재까지 천지 1·2호기 904억원, 대진 1·2호기 33억원이다.

전액 한수원의 부담이다. 다만 일정 부분은 정부가 책임진다. 박원주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에너지전환 로드맵에서 확정한 비용보전 원칙에 따라 적법하고 정당하게 쓴 돈은 정부가 보전하겠다”고 말했다. 천지 1·2호기 예정 구역 내 이미 매수한 토지(전체 면적의 18.9%)는 해제 고시 이후 매각을 추진한다. 한수원 이사회에서 폐쇄를 결정한 월성 1호기는 내년 중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영구정지 운영변경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원안위 판단이 남았지만, 한수원의 결정을 뒤집을 가능성은 매우 작다는 분석이다. 다만 지역상생지원금은 원안위의 결정이 나올 때까지 계속 지원하기로 했다. 월성 1호기의 지역상생지원금은 약 1310억원으로 이중 260억원을 제외하고 모두 집행됐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